-
AWS
Amazon VPC 한 번쯤 궁금한 이야기 3 : Hyperplane (하이퍼플레인)
Today Keys : mapping, service, blackfoot, edge, hyperplane, vpc, aws, amazon, nlb, private, endpoint, link, nat, gateway Amazon VPC를 사용하면서 굳이 몰라도 되지만, 한 번쯤 궁금할 수 있는 이야기를 몇 가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이야기는 'Hyperplane' 입니다. 이번에 다루게 될 주제들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오픈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존 re:Invent에서 발표된 내용과 동일 주제들도 내용을 다뤘던 글들을 토대로 작성된 내용이라서 제가 다룬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사실 다를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팅에서 다뤄보려..
-
AWS
Amazon VPC 한 번쯤 궁금한 이야기 2 : Blackfoot Edge Device
Today Keys : mapping, service, blackfoot, edge, hyperplane, vpc, aws, nlb, private, endpoint, link, nat, gateway Amazon VPC를 사용하면서 굳이 몰라도 되지만, 한 번쯤 궁금할 수 있는 이야기를 몇 가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두 번째 이야기는 'Blackfoot Edge Device'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한 것처럼 이번 시리즈에서 다루게 될 주제들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오픈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존 re:Invent에서 발표된 내용과 동일 주제들도 내용을 다뤘던 글들을 토대로 작성된 내용이라서 제가 다룬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사실 다를 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 ..
-
AWS
Amazon VPC 한 번쯤 궁금한 이야기 1 : Mapping Service
Today Keys : mapping, service, blackfoot, edge, hyperplane, vpc, aws, amazon, nlb, private, endpoint, link, nat, gateway Amazon VPC를 사용하면서 굳이 몰라도 되지만, 한 번쯤 궁금할 수 있는 이야기를 몇 가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첫 번째 이야기로 'Mapping Service' 입니다. 앞으로 다룰 주제도 마찬가지이지만, 이번에 다루게 될 주제들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오픈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존 re:Invent에서 발표된 내용과 동일 주제들도 내용을 다뤘던 글들을 토대로 작성된 내용이라서 제가 다룬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사실 다를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 그..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DNS 주요 레코드
Today Keys : DNS, Domain, 마스터, 슬레이브, master, slave, 도메인, 53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5장의 내용입니다 7.2.5 DNS 주요 레코드 도메인에는 다양한 내용을 매핑할 수 있는 레코드가 있습니다. 다양한 DNS 레코드 중 주로 사용 하는 몇 가지 레코드를 알아보겠습니다. 7.2.5.1 A(IPv4) 레코드 A 레코드는 기본 레코드로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레코드입니다. 사용자가 DNS에 질의한 도메인 주소를 A 레코드에 설정된 IP 주소로 응답합니다. 하나의 A 레코드에는 한 개의 도메인 주소와 한 개의 IP 주소가 1:1로 매핑되는데 동일한 도메인을 ..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DNS 마스터와 슬레이브
Today Keys : DNS, Domain, 마스터, 슬레이브, master, slave, 도메인, 53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4장의 내용입니다 7.2.4 마스터와 슬레이브 DNS 서버는 마스터(Master, Primary) 서버와 슬레이브(Slave, Secondary) 서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마스터 서버가 우선순위가 더 높지 않고 두 서버 모두 도메인 쿼리에 응답합니다.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도메인에 대한 존(Zone) 파일을 직접 관리하는지 여부로 구분합니다. 마스터 서버는 존 파일을 직접 생성해 도메인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에 만들어진 존 파일을 복제합니다. 이 과정을 ‘영..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DNS 동작방식
Today Keys : DNS, Domain, 동작방식, 도메인, 53, tld, 질의, 쿼리, 소개, 루트, root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3장과 7.2.2장의 내용입니다 7.2.3 DNS 동작 방식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려면 DNS 서버에 도메인 쿼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DNS 서버없이 로컬에 도메인과 IP 주소를 직접 설정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로컬에서 도메인과 IP 주소를 관리하는 파일을 hosts 파일이라고 합니다. hosts 파일에 도메인과 IP 주소를 설정 해두면 해당 도메인 리스트는 항상 DNS 캐시에 저장됩니다. 도메인을 쿼리하면 DNS 서버에 쿼리를 하기 전 로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