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ZURE
Azure Application Gateway - Private Link 1
Today Keys : Application gateway, private link, endpoint, private, secure, security, connection, 프라이빗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현재 Preview로 제공되는 Azure Application Gateway의 Private Link를 만들고, 테스트 해보는 예제를 다뤄봅니다. 기존에 Network Loadbalancer를 통해서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Private Link를 Application Gateway에서도 지원하게 되면서 보다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게 될 것 같습니다. '22.6.13부터 Preview 제공 중인 Application Gateway의 Private Link를 테스트하기 위한 이번 포스팅의 구성입니다. ..
-
AZURE
Azure VNet Peering
Today Keys : vnet, peering, sync, address space, azure, 피어링 이번 포스팅은 Azure VNet이 Peering된 상태에서 Address Space를 변경하는 예제입니다. 기존에는 Peering이 된 상태에서는 Address space 변경이 불가했으나, Peering된 VNet에 대한 Address Space 변경에 대한 지원이 22년 9월 15일부터 GA되었습니다. (Preview는 21년 8월 13일) 예전에는 Azure에서 VNet을 생성한 이후에, VNet에 할당된 IP대역인 Address Space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수정이 가능하지만, VNet을 다른 VNet과 Peering으로 연결한 경우에는 VNet의 Address Space에 대한 변경이 ..
-
AWS
Amazon VPC 한 번쯤 궁금한 이야기 3 : Hyperplane (하이퍼플레인)
Today Keys : mapping, service, blackfoot, edge, hyperplane, vpc, aws, amazon, nlb, private, endpoint, link, nat, gateway Amazon VPC를 사용하면서 굳이 몰라도 되지만, 한 번쯤 궁금할 수 있는 이야기를 몇 가지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이야기는 'Hyperplane' 입니다. 이번에 다루게 될 주제들에 대해서는 정확한 자료가 오픈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존 re:Invent에서 발표된 내용과 동일 주제들도 내용을 다뤘던 글들을 토대로 작성된 내용이라서 제가 다룬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사실 다를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팅에서 다뤄보려..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3 (부하 분산 알고리즘)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라운드로빈, Least, connection, 헬스체크, health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4장의 내용입니다 12.3. 헬스 체크 로드 밸런서가 리얼 서버로 부하를 분산할 때,로드 밸런서에서는 사전에 설정한 분산 알고리즘을 통해 부하 분산이 이루어집니다. 이번 절에서는 주요 부하 분산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현재 구성된 장비에 부하를 순차적으로 분산함. 총 누적 세션 수는 동일하지만 활성화된 세션 수는 달라질 수 있음 최소 접속 방식 (Least..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2 (헬스체크/Health check)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가용성, 이중화, SLB, 헬스체크, health, 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3장의 내용입니다 12.3. 헬스 체크 로드 밸런서를 통해 서비스하는 그룹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혹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서버로 서비스를 분산해 일부 사용자에게 서비스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 지 않을까요? 물론 그런 경우는 발생하지 않습니다.로드 밸런서에서는 부하 분산을 하는 각 서버 의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헬스 체크(Health Check)해 정상적 인 서 비스 쪽으로만 부하를 분산..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1 (부하분산이란)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가용성, 이중화, SLB, FWLB, 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1, 12.2장의 내용입니다 12.1. 부하 분산이란?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물리나 가상 서버 한 대로는 모든 서비스를 수용할 수 없게 됩니다. 서버 한 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이 충분하더라도 서비스를 단일 서버로 구성하면 해당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운영체제,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 다. 서비스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서비스는 보통 두 대 이상의 서버로 구성하는데 각 서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