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Amazon VPC Lattice - Part 9: AWS Gateway API Controller
Today Keys : lattice, vpc, service, eks, api, gateway, controller, kubernetes 이번 포스팅은 서로 다른 VPC 및 AWS 계정에 걸쳐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라우팅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Amazon VPC Lattice에 대한 아홉 번째 포스팅입니다. 아홉 번째 포스팅에서는 AWS Gateway API Controller에 대한 내용입니다. AWS Gateway API Controller는 Kubernetes API를 구현한 것으로 EKS Cluster의 Gateway, HTTRoute에 대한 Amazon VPC Lattice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역할을 합니다. Kubernetes Gateway API에 대한 내용과..
-
AWS
Amazon VPC Lattice - Part 8 : Control/Data Plane, Link-Local 등
Today Keys : aws,vpc, lattice, network, service, control, data, plane, api, link-local 이번 포스팅은 서로 다른 VPC 및 AWS 계정에 걸쳐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라우팅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Amazon VPC Lattice에 대한 여덟 번째 포스팅입니다. 여덟 번째 포스팅에서는 VPC Lattice에 대한 기존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았던, VPC Lattice와 관련된 이런 저런 내용들을 짧게 짧게 다뤄 봅니다. 전반적으로 어떻게 VPC Lattice Service와 통신을 하게 되며, 네트워크 보안 정책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내용과 VPC Lattice Service에 접근하는 Client를 확인하는 ..
-
AWS
Amazon VPC Lattice - Part 7 : 소개, 주요 개념
Today Keys : aws,vpc, lattice, network, service, amazon, 개념, auth, policy, directory 이번 포스팅은 서로 다른 VPC 및 AWS 계정에 걸쳐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라우팅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Amazon VPC Lattice에 대한 일곱 번째 포스팅입니다. 일곱 번째 포스팅에서는 VPC Lattice에 대한 서비스 소개와 간단한 개념에 대해서 다룹니다. 원래 개념을 다루면서 VPC Lattice에 대한 포스팅을 마무리 하려고 했는 데, 기존에 정리하지 않은 내용과 함께 이번 장을 정리하면서 추가로 정리하고 싶은 내용들이 조금 더 생기면서 다음 포스팅이 VPC Lattice에 대한 마지막(당분간) 포스팅이 될 것 ..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3 (부하 분산 알고리즘)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라운드로빈, Least, connection, 헬스체크, health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4장의 내용입니다 12.3. 헬스 체크 로드 밸런서가 리얼 서버로 부하를 분산할 때,로드 밸런서에서는 사전에 설정한 분산 알고리즘을 통해 부하 분산이 이루어집니다. 이번 절에서는 주요 부하 분산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현재 구성된 장비에 부하를 순차적으로 분산함. 총 누적 세션 수는 동일하지만 활성화된 세션 수는 달라질 수 있음 최소 접속 방식 (Least..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2 (헬스체크/Health check)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가용성, 이중화, SLB, 헬스체크, health, 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3장의 내용입니다 12.3. 헬스 체크 로드 밸런서를 통해 서비스하는 그룹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혹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서버로 서비스를 분산해 일부 사용자에게 서비스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 지 않을까요? 물론 그런 경우는 발생하지 않습니다.로드 밸런서에서는 부하 분산을 하는 각 서버 의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헬스 체크(Health Check)해 정상적 인 서 비스 쪽으로만 부하를 분산..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1 (부하분산이란)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가용성, 이중화, SLB, FWLB, 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1, 12.2장의 내용입니다 12.1. 부하 분산이란?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물리나 가상 서버 한 대로는 모든 서비스를 수용할 수 없게 됩니다. 서버 한 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이 충분하더라도 서비스를 단일 서버로 구성하면 해당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운영체제,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 다. 서비스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서비스는 보통 두 대 이상의 서버로 구성하는데 각 서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