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이야기 (9)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3 이번 포스팅에서는 Ubuntu에서 Netplan으로 설정한 DNS가 2차 이상으로 여러 개 일 때, DNS 질의가 실패 할 경우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테스트를 통해서 알아봅니다.Netplan에서 적용하는 Yaml에 다음과 같이 nameserver 설정을 해두었습니다.위에서 부터 차례로 1차 DNS, 2차 DNS로 순서가 정해집니다.설정한 Yaml 파일을 netplan apply로 적용하고 나면, resolvectl status 명령으로 systemd-resolved에서 사용 할 DNS Server 정보가 갱신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도메인 질의(Query)하는 패킷을 tcpdump로 확인해 보면, 1차 DNS로 설정된 8.8.8.8로 도메인 질의를 하고 응답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1 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리눅스에서 DNS가 어떤 흐름으로 동작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서버와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본기 중 하나입니다.특히 systemd가 도입된 이후에는 전통적인 resolv.conf 외에도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같은 새로운 구성 요소가 등장하면서 동작 방식이 조금 더 복잡해졌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DN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세 가지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또한 Netplan을 이용하여 DNS를 설정할 경우 내부적으로 어떻게 흐름이 구성되는지와 실제 .. DNS 동작 이해를 위한 기술 - Netplan Part 3 Netplan 명령어 알아보기이번 절에서는 Netplan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소개합니다.설정 파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한 뒤에는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Netpla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명령어설명netplan apply변경한 Netplan 설정을 시스템에 즉시 적용합니다. 네트워크 설정이 바뀌기 때문에 원격 환경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netplan try설정을 시험 적용합니다. 설정 적용 후 사용자의 확인이 없으면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되돌리기 때문에 원격 접속 환경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netplan generateNetplan 설정을 바탕으로 백엔드용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보통은 수동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내부 동작 확인이나 디버깅 용도로 사용합니다.특히 n.. DNS 동작 이해를 위한 기술 - Netplan Part 2 Netplan 설정 파일의 위치와 구조이번 절에서는 Netplan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경로와 파일의 구조에 대해 다룹니다.Netplan 설정 파일은 /etc/netplan/ 경로 아래에 .yaml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저장됩니다.Ubuntu를 설치하면 이 디렉토리에 하나 이상의 설정 파일이 기본으로 생성되어 있으며,대표적으로 01-netcfg.yaml, 50-cloud-init.yaml 등이 있습니다.Netplan은 이 디렉토리 내에 있는 .yaml 파일을 읽어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합니다.파일명은 알파벳 순서대로 처리되므로, 숫자를 앞에 붙여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Netplan 파일은 YAML 형식으로 작성되며, 들여쓰기와 문법이 중요합니다.들여쓰기는 반드시 스페이스로 하고, 탭 문자는 사용.. DNS 동작 이해를 위한 기술 - Netplan Part 1 Ubuntu 22.04 LTS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 관리 도구로 Netplan이 기본으로 사용됩니다.Netplan은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을 YAML 기반 구성 파일로 단순화하여,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유선 LAN, Wi-Fi 등)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이 글에서는 초급 IT 엔지니어분들을 위해 Netplan의 개념부터 Ubuntu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Netplan이란 무엇인가?Netplan은 선언형(Declarative) 네트워크 설정 도구입니다.사용자가 작성한 YAML 포맷의 설정을 기반으로 시스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프론트엔드” 역할의 유틸리티라 할 수 있습니다.즉,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을 하나의 YAML 파일로 작성하면, Netplan이 실제 네트워크 구성에 적.. 서버 기초 - 발표자료 : PART 2 사진 업로그 갯수로 나눠서 올리는 서버 기초 발표자료 2번쨰 입니다. 서버 기초 - 발표자료 : PART 1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또 포스팅을 해봅니다. 이번 포스팅은 서버 기초에 대해서 예전에 내부 발표를 했던 내용입니다. 아주 기초를 위해서 작성했던 내용이라서, 서버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이미 너무 쉬운 내용일 수 있겠네요. ^^; 혹시라도 도움이 되시는 분들이 계실까해서.. 공유합니다. - 티스토리에서 한 번에 올릴 수 있는 사진이 정해져 있어서 2번으로 나눠서 올립니다. 요 [Tip]터미널 서비스가 실행 중인 경우 Install mode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서버에 V3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 기존 V3를 삭제하고 새로운 버전으로 설치하려던 중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서 설치가 되지 않았습니다. 터미널 서비스가 실행 중인 경우 Install mode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확인을 해보니, 현재의 접속 계정이 프로그램이 Install mode가 아니었기 때문인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손쉽게 변경 및 설치를 할 수 있게 할 수 있었습니다. 1.Install Mode로 변경하기 C:\> change user /install 사용자 세션이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2. Execute Mode로 변경하기 C:\>change user /execute 사용자 세션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3. 현재 Mode 확인하기 C:\>..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