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Keys : expressroute , express , route , er , 전용선 , azure , cloud , 클라우드 , hybrid , 하이브리드 , direct , local
 이번 포스팅은 Azure와의 On-premise 간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을 위한 전용선 서비스인, ExpressRoute에 대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ExpressRoute / ExpressRoute Direct에 대한 내용이며, ExpressRoute에 대해서는 추가 포스팅이 진행 될 예정입니다.
 ExpressRoute 
  ▪ Azure와 On-premise 간의 연결을 위한 전용선 구선 
  ▪ ExpressRoute 연결을 위한 Provider와 Peering Locaton은 다음과 같음.  
        - KINX(서울), LG CNS(서울/부산), 세종텔레콤(서울)
  ▪ 표준(Standard) / 프리미엄(Premium)으로 구분 
  ▪ 일반 사용량 기반의 과금(Metered)과 무제한 요금(Unlimited) 선택 가능 
        - Metered에서 Unlimited로는 전환이 가능하나, Unlimited에서 Metered로는 전환이 불가 
  ▪ ExpressRoute에서 지원 가능한 Bandwidth은 다음과 같음 
       - 50M / 100M / 200M / 500M / 1G / 2G / 5G / 10G
  ▪ ExpressRoute의 Bandwidth를 적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알맞은 Virtual Network Gateway 구성 필요. 
Peerings
  ▪ Private Peering 
      사용자가 Azure에서 생성한 가상 네트워크와의 연결
  ▪ Microsoft Peering 
      Microsoft 온라인 서비스(Office 365, Dynamics 365, Azure PaaS 서비스)에 연결
      Microsoft Peering을 통한 통신 시에는 Local도 공인 IP를 사용하거나, 공인 IP로 NAT가 필요
      
ExpressRoute Premium
  ▪ ExpressRoute Standard에 대비해서 설정 및 연결 가능한 리소스 증가 
  ▪ Private Peering에 대해서 최대 10,000개 경로(Standard는 4000개) 
  ▪ ExpressRoute 회로 당 가상 네트워크 수 증가(표준은 속도와 상관없이 10개) 
      - 회로의 Bandwidth 별 20~100개
  ▪ Global Reach 연결 수 증가 
  ▪ Office 365 및 Dynamics 365에 연결 
  ▪ Premium 설정은 초기 설정 뿐 아니라, 사용 중간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Premium에서 Standard로 변경 시점에 Standard 범위를 초과하여 리소스/기능을 사용 중이면 설정 변경이 불가.
 ExpressRoute 고려사항 
   ▪ ExpressRoute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전용회선을 구성하더라도 Microsoft 라우터와의 이중화를 위해서 2개의 Connection 연결 필요 
   ▪ SPOF 방지를 위해서 서로 다른 Peering Location과의 이중화 된 ExpressRoute 구성 권고
   ▪ 사설 대역으로는 Microsoft Peering과의 통신 불가(공인 IP 사용하거나, NAT 필요) 
ExpressRoute Direct
  ▪ Azure Peering Location에서 Microsoft Global Network에 직접 연결하는 회선 
        - 일반 ExpressRoute는 Partner Edge 경유 필요
  ▪ 100G 혹은 10G의 포트를 Pair 제공. 
        - 초기 100 인터페이스만 제공했으나, 19.7월에 10G 인터페이스 지원
  ▪ 100G의 경우 SKU 조합으로 100G / 40G / 10G / 5G 선택 
  ▪ 10G의 경우 SKU 조합으로 10G / 5G / 2G / 1G 선택 
  ▪ 기존 ExpressRoute의 Standard와 Premium 이외에 Local type의 구성 가능
- Express Route Local은 하단에 추가 설명
- Express Route Local은 하단에 추가 설명
ExpressRoute Direct 기술 요구 사항
  ▪ 10G / 100G 인터페이스 
  ▪ Single 모드 광 
  ▪ IPv4, IPv6 
  ▪ IP MTU 1500  
  ▪ 802.1Q 지원 
ExpressRoute Local
  ▪ ExpressRoute를 이용하면, Standard의 경우 Geopolitical region내의 Azure regions에 접근이 가능하고 
    Premium을 사용하면 Azure의 글로벌 리전 모두 접근이 가능
  ▪ ExpressRoute Local의 경우 Peering Location 인근에 위치한 1~2개의 Azure regions에만 접근이 가능. 
  ▪ ExpressRoute Local을 이용할 경우에는 ExpressRoute Starndard, Premium과 달리 송신 비용이 과금되지 않음. 
    즉, ExpressRoute Local의 비용에는 데이터 송신 비용이 포함된 비용임. 
  ▪ 데이터 송신에 대한 비용 부담은 감소하지만, 접근 가능한 범위가 Peering Location쪽의 Azure Region으로 제한되고, 
    또한 Global Reach 사용 불가
  ▪ ExpressRoute Local은 ExpressRoute Direct에서 제공되지만, Resource에 대한 제한은 Standard를 기준으로 함. 
ExpressRoute Global Reach
  ▪ Microsoft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ExpressRoute로 연결된 On-Premise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 
  ▪ 즉, ExpressRoute가 연결된 두 On-Premise 사이트 간의 통신을 Microsoft 글로벌 백본을 통하도록 함. 
  ▪ 두 개의 On-premise가 동일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일반 ExpressRoute로 가능하지만,  
    다른 지역인 경우에는 ExpressRoute Premium이 필요.
본 포스팅은 Azure ExpressRoute 페이지를 기반으로 정리하였으며, Express Route 페이지에서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