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 이야기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Today  Keys : CVE, 보안 취약점, 패치 관리, IT 보안, 취약점 식별, Common,  Vulnerabilities,   Exposures


 이번 포스팅에서는 IT 인프라 관리에 필수적인 보안 취약점 식별과 관리에 활용되는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CVE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보안 취약점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명확히 식별하고,

빠르고 효율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해주는 국제 표준 식별 체계입니다.



CVE란 무엇인가?

CVE는 보안 취약점 정보를 표준화하여 전 세계적으로 명확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입니다.

각 취약점은 고유한 식별 번호(CVE ID)를 갖게 됩니다.

고유 식별 번호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되며, 형식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CVE ID : CVE-2024-12345 

  • CVE: 공통 취약점 및 노출을 나타냅니다.
  • 2024: 취약점이 보고된 연도를 나타냅니다.
  • 12345: 해당 연도에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냅니다.

 

CVE의 주요 활용 방법

취약점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견된 특정 취약점을 명확히 식별하고 위험성을 평가할 때 CVE 정보를 활용합니다.

 

보안 패치 적용

각 CVE 항목은 관련된 보안 패치 및 해결 방법을 포함하고 있어,

시스템 관리자가 신속하게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보안 정책 수립

조직의 IT 보안 정책을 수립할 때 CVE를 참고하여 취약점 관리 및 예방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정보 공유 및 협력

다른 보안 전문가 및 기업과의 소통 시 공통된 CVE 번호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명확하게 취약점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CV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

CVE 공식 웹사이트https://cve.org

  •     CVE 번호와 취약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 https://knvd.krcert.or.kr/resultList.do

  • 한국 인터넷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취약점 정보 공유 사이트로, CVE-ID 및 제조사 등으로 조회 가능.

 

벤더(제조사) 공식 보안 공지

  • 각 제조사의 공식 보안 페이지에서도 해당 CVE와 관련된 패치 정보와 권장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VE 관리 시 주의사항


CVE 정보는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관리 중인 IT 환경의 보안 상태를 최신으로 유지해야 하고, 

CVE로 지정된 취약점은 항상 신속하게 평가하고 대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