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ateway

(33)
AWS Regional NAT Gateway Today Keys : aws, vpc, nat, gateway, regional, network, architecture, high-availability이번 포스팅은 AWS에서 25년 11월 19일에 새롭게 발표한 Regional NAT Gateway에 대한 소개입니다.기존 NAT Gateway는 특정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에 종속적인 자원이기 때문에각 가용영역별로 NAT Gateway를 구성하여, 가용성을 확보하거나 가용영역을 교차하여 사용을 했습니다.Regional NAT Gateway는 가용 영역이 아닌 리전 종속적인 자원으로가용 영역 전체에 걸쳐 자동으로 확장/축소되며 동작하는 NAT Gateway입니다.AWS Regional NAT Gateway란?하나의 NAT Gate..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Subnet & Gateway) Today Keys : 서브넷, subnet, 게이트웨이, gateway, IP주소, 로컬, 원격, local, remote, mask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6.1장의 내용입니다.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초기 네트워크는 모든 단말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로컬 네트워크(LAN)를 고려하여 설계되어 통신하는 방법이 매우 간단했습니다. 이메일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작은 LAN 네트워크들이 하나의 큰 네트워크로 묶이면서 먼 거리에 있는 다른 LAN 간의 통신이 중요해졌습니다.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과 원격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동작 방식이나 필요한 네트워크 장비가 모두 다릅니다. 원격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 사용..
Amazon VPC Lattice - Part 9: AWS Gateway API Controller Today Keys : lattice, vpc, service, eks, api, gateway, controller, kubernetes 이번 포스팅은 서로 다른 VPC 및 AWS 계정에 걸쳐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라우팅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Amazon VPC Lattice에 대한 아홉 번째 포스팅입니다. 아홉 번째 포스팅에서는 AWS Gateway API Controller에 대한 내용입니다. AWS Gateway API Controller는 Kubernetes API를 구현한 것으로 EKS Cluster의 Gateway, HTTRoute에 대한 Amazon VPC Lattice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역할을 합니다. Kubernetes Gateway API에 대한 내용과..
AWS S3 Endpoint (Gateway / Interface[Private Link]) 사용 방법 Today Keys : s3, endpoint, gateway, interface, private link, 엔드포인트, 프라이빗 링크, 보안, eni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S3 서비스 접근 시에, 공인망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AWS 내부망을 통해 보다 보안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Endpoint에 사용 방법을 알아봅니다. S3의 Endpoint는 Gateway 방식과 Interface에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데 각 방식을 어떻게 사용 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뤄질 AWS S3 Endpoint 사용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 구성입니다. S3는 기본적으로 공인 IP주소를 갖는 Public Service이기 때문에 가상 네트워크인 VPC 내부에서 S3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IGW를 통해서 접근..
AWS NAT64, DNS64를 이용한 IPv6 주소에서 IPv4 주소로 통신 Today Keys : DNS64, NAT64, IPv6, IPv4, NAT, 64:ff9b::/96, Well-Known Prefix, Route 53, Resolver, Gateway 이번 포스팅은 AWS에서 IPv6로 구성된 워크로드에서 IPv4 서비스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NAT64, DNS64 이용해서, IPv6 인스턴스가 VPC 외부의 IPv4 서비스와 통신하는 예제를 알아봅니다. NAT64와 DNS64를 사용하면, 단순히 서브넷의 옵션과 라우팅 조정만으로 AWS에 구축된 IPv6 워크로드가 IPv6는 물론 IPv4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통신하도록 구성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뤄질 전체적인 구성입니다. 하단에 ZIGI-VPC에 IPv4와 IPv6를 모두 사용하도록 구성이 ..
AWS Direct Connect SiteLink AWS Direct Connect SiteLink ▪ AWS의 Global Network Backbone을 이용하여, On-Premise 간의 직접 연결이 가능하도록 지원 ▪ 글로벌에 위치한 On-Premise는 각 위치에서 가까운 DX Location을 통해서 DX Gateway에 연결하고, 각 DX Location 간에는 AWS의 Global Network Backbone망을 이용해서 통신 ▪ 기존의 고비용의 해외 전용선을 구축하지 않고 AWS Global Backbone망을 이용하여 사용 - 고정된 고비용의 해외 전용선 대신하여 사용. ▪ AWS에서 기존에도 On-Premise 간의 통신을 할 수 있었으나, 기존에는 Transit Gateway를 경유해야 했지만 SiteLink 기능 출시로 DX G..
Azure Gateway Load Balancer(GWLB) Today Keys : GWLB, Gateway, Load Balancer, 부하 분산 장치, 게이트웨이 로드밸런서, 보안, endpoint, nva, appliance, azure, cloud, 클라우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방화벽, 패킷분석, IDS/IPS, Inline DDoS와 같은 3rd-Party NVA(Network Virtual Appliance)를 Azure 트래픽 경로 상에서 Transparent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Gateway Load Balancer를 구성하여 테스트해봅니다. 지난 11월 2일에 Azure에서 새로 나온 서비스이며, 현재 Preview로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추가적인 관리 오버헤드없이, 고급 네트워크 기능을 Gateway Load Balancer를 ..
Azure - AWS 간의 VPN 연동 및 BGP 연결 Today Keys : vpn, private, gateway, aws, azure, vpc, vnet, tunnel, 프라이빗, network, bgp, ipsec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와 AWS 간의 가상 네트워크(VNet/VPC)를 VPN을 통해서 연결하고 BGP 구성을 하는 예제입니다. 추후에 AWS와 GCP, Azure와 GCP 간의 VPN 연결 및 BGP 구성을 하는 예제도 다뤄질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구성하게 될 전체적인 구성도입니다. Azure와 AWS에 각각의 가상 네트워크(VNet/VPC)를 구성하고, VPN 연결을 통해서 Private하게 서로 연결을 합니다. 각 네트워크 대역은 BGP를 통해서 연결하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전에 기본 네트워크(VPC/VNet)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