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ansfer

(3)
DNS Zone Transfer 설정 (Windows Server 기준) Today Keys : dns, zone, transfer, 존트랜스퍼, 복제, 존, zone transfer, primary, secondary, windows, domain, name지난 포스팅에서는 DNS Zone Transfer가 어떤 것인지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Server에서 DNS Zone Transfer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실제 구성하면서 알아봅니다.DNS Zone Transfer를 알아보기 위해 Windows 서버를 2대를 구성합니다.각 서버에서는 DNS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1번 서버는 172.16.0.62번 서버는 172.16.0.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Mater Server 설정Master 서버에서의 정방향 조회(Forward Lookup Zones..
DNS Zone Transfer DNS Zone Transfer인터넷을 사용하는 동안 우리는 도메인 주소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하게 됩니다. 이 도메인 주소가 IP 주소로 변환되어야 실제 통신이 가능하며, 이 과정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DNS는 단순한 이름 해석 기능 외에도 도메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도메인 정보는 DNS 서버 내부에 Zone이라는 단위로 나뉘어 저장되며, 여러 DNS 서버가 이를 공유하고 동기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바로 DNS Zone Transfer입니다.Zone이란?DNS에서 Zone은 특정 도메인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논리적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이라는 도메인과 그 하위 도메인..
AWS Data 전송 비용 Today Keys : AWS, data, transfer, traffic, cost, GB, 전송, 트래픽, 비용, cloud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데이터 전송 비용에 대해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이번에 정리한 내용은 데이터 전송 비용은 개인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먼저 정리하느라 멀티 리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단일 리전에 대한 경우에 대해서만 정리했습니다. 추후에 멀티 리전에 대한 부분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원본은 구성도와 옆에 설명이 1페이지에 되어 있으나, PC와 모바일에서 보기 편하도록 구성도와 설명을 나눠서 올립니다. 혹시, 잘못되거나 업데이트 된 내용이 있다면 지속적으로 수정 예정입니다. [ 22.09.26 현재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