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122) 썸네일형 리스트형 Cisco Nexus : NX-OS 정리 Part 4 (Supervisior Redundancy / Port-Profile) Nexus 4번째 정리입니다. 핑계 없는 무덤은 없다지만, 자주 업데이트를 하지를 못하고 있네요. 딱히 특정 챕터 중심이라기 보다는 제가 정리되는 순서대로 업데이트하다보니 내용 또한 중구난방입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리며~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Last Updated 2015. 01. 22. - High Availability Updated 2013. 01. 23 - Port Profile High Availability 정책 • VDC crashes가 발생할 경우에 VDC는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VDC의 종류와 Supervisor(single/dual)에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 Default VDC (Default VDC 혹은 Admin VDC의 경우는 정책 변경 불가) - D.. Cisco Nexus : NX-OS 정리 Part 3 (Checkpoint/Rollback) 어제에 이어서 올리는 Nexus 정리 3번째 입니다. 이번에는 Configuration을 특정시점에 기록하고,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인 Checkpoint와 Rollback에 대한 정리입니다. Checkpoint / Rollback • Nexus에서 Config 변경 작업 시에, 작업 전 시점에서 Checkpoint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의 Running-Config의 시점을 기록 하고, Config를 작업 전으로 원상복구가 필요한 경우에 Rollback 명령을 이용해서 , Checkpoint에서 지정한 시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 NX-OS(config)# checkpoint Checkpoint_NAME [desc desctription ] - NX-OS(config)# rollback running-.. Cisco Nexus : NX-OS 정리 Part 2 (VDC) Nexus 두 번째 정리자료입니다. 내용상으로 보면, 이게 제일 먼저 올릴 법한 자료인 VDC에 관한 아주 간략한 내용입니다만, 자료 보는 순서와, 정리가 된 순서대로 하다보니 이렇게 됐네요. (L2 관련 부분을 먼저 정리하기 시작했는데, 딱히 자료가 정리가 되지를 않아서..) 내용은 많지는 않지만, 자꾸 더디게 정리가 되서 우선 정리되는데로 올려보려고 짧게 끊어서라도 조금 빈번하게 올려보려고 합니다. 첨부파일(PDF)로도 첨부합니다. ================================================================================================================= NX-OS : VDC ◈ VDC 관련 기본 정리 • Nexus 700.. Cisco Nexus : NX-OS 정리 Part 1 (EIGRP / OSPF / HSRP) 자주 글을 올리려고 해도 오랜만에 글을 올리게 되네요. Cisco Nexus를 도입하게 되면서, 기존 운영하고 있는 부분과 관련된 부분을 한글화 자료로 만드는 중입니다. 우선 저는 EIGRP랑 OSPF, HSRP 부분만 정리를 하게 되서 블로그에 올려봅니다. 기본적인 내용과 IOS와 NX-OS상의 다른 Command를 올렸습니다. 아직 공부 중인 내용이라서, 좀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그런 부분을 발견해주시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저도 수정하고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Cisco Nexus 7000 NX-OS/IOS Comparison Tech Notes [Link] ※ Cisco Nexus 7000의 NX-OS와 기존 IOS 비교 자료. [전체 링크 --> Click ] Cisco NX-OS/IOS Configuration Fundamentals Comparison Cisco NX-OS/IOS BGP (Basic) Comparison Cisco NX-OS/IOS BGP (Advanced) Comparison Cisco NX-OS/IOS DHCP Relay Comparison Cisco NX-OS/IOS EIGRP Comparison Cisco NX-OS/IOS HSRP Comparison Cisco NX-OS/IOS Interface Comparison Cisco NX-OS/IOS Layer-3 Virtualization Comparison Cisco NX-OS/I.. IP SLA와 EEM을 사용한 작업 오랜만에 포스팅을 위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매주 1개씩 작성하려고 했었는 데, 이래 저래 치이다 보니 역시 쉽사리 잘 되지를 않는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더 정신차려서 공부하는 겸 정리하는 겸 올릴 수 있도록 해야겠다. 오늘은 IP SLA와 EEM을 이용한 작업 예 내용입니다. 아래의 왼쪽의 구성도가 본사와 지사 간의 현재 구성인 것을, 신규 장비를 도입하면서 이중화 구성으로 변경을 하기 위해서 오른쪽 구성도와 같이 변경하려고 합니다. 현재의 제약사항과 구성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방화벽 간의 Sync 불가 / VRRP 구성 불가 ○ L4 구성 불가 (FWLB 불가) ○ 현재의 모든 Routing은 Static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사 MR, BR에서는 지사에서 오는 HOST에 대해서 NAT.. Routing Table과 Direct Connected에서의 통신 이번 정리는 L3 스위치에서 로컬네트워크(Direct Connected)와 Routing Table에서의 우선 순위와 L3 스위칭 시에 통신하는 경로 상에서 L2/L3 정보를 어떻게 참조하는지에 대한 부분에 대한 정리입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듯 하게 단순한 부분이지만 제대로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라서(물론 제 스스로의 기준입니다.) 한 번 이것 저것 테스트 해보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스위치에서 10.10.10.11에 대한 목적지 IP로 Ping Test 시에 ◎ Switch 1 → Switch 3 :Routing Table을 확인해서, Local Network (Direct Connected)의 서브넷보다 Static으로 선언된 Routing의 서브넷보다 작으므로, Longest Match에 의.. TTL (Time-To-Live) Ping 명령어를 이용해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얼마나 많은 Router를 지나가는지(Hop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에 따라 Default TTL(Time-To-Live)이 다르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종류도 가늠해볼 수 있다. 이 때의 운영체제는 Ping으로 확인하는 운영체제는 보내는 쪽이 아니라 Ping을 받는 쪽(즉, 목적지)에 대한 운영체제를 확인할 수 있다. 목적지로 패킷을 보낼 때, TTL 값을 자신의 운영체제의 최대값으로 해서 보내고 각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이 값을 1씩 낮추면서 목적지 장비에 도착을 하게 되면, 목적지에는 데이터를 응답할 때 다시 TTL을 자신의 운영체제의 최대값으로 해서 응답을 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돌아오는 경로 상에서 라우터를 지날 때마다 TTL값은 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