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S Anywhere - Part 2 (Task 정의 및 실행 예제)
Today Keys : ECS, Anywhere, task, definition, run, 작업정의, 작업실행 hybrid, cluster, aws, 하이브리드 이번 포스팅은 AWS ECS Anywhere 테스트를 위해서 간단한 Task를 정의하고, 이 작업을 외부 인스턴스에서 실행해보는 예제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nginx를 올려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바운드 서비스로 테스트를 하였지만, 현재 ECS 외부 인스턴스는 아웃바운드 트래픽 혹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가장 간단하게 ECS Anywhere를 통해서 AWS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장비로 ECS를 사용해 보게 됩니다. ECS Anywhere에 올릴 Task를 먼저 정의합니다. Ta..
Azure Event Hubs - Kafka를 사용한 예제
Today Keys : event hub, azure, cloud, kafka, producer, consumer, 이벤트 허브, topic 이번 포스팅은 Azure의 빅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 및 이벤트 수집 서비스 인 Event Hubs에 대한 예제입니다. Apache Kafka 클러스터를 대신해서, Apache Kafka Producer로 보낸 메시지를 Event Hubs를 통해서 Apache Kafka Consumer에게 전달하는 예를 다룹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Azure Evnet Hubs Kafka endpoint를 사용하면, Kafk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Azure Event Hubs에 연결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Kafka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Kafka 클러스터를..
AWS Network Firewall - Part 2
Today Keys : firewall, network, vpc, aws, 방화벽, managed, endpoint, 관리형, proxy, 네트워크, policy, rule, group 이번 포스팅은 AWS Network Firewall 의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첫 번째 포스팅에서는 AWS Network Firewall을 만들고, 기본 테스트를 해본 예제였고, 이번 포스팅은 Network Firewall에 대한 몇 가지 정리 내용입니다. AWS Network Firewall - Part 1 AWS Network Firewall - Part 1 Today Keys : firewall, network, vpc, aws, 방화벽, managed, endpoint, 관리형, proxy, 네트워크, policy..
Azure Arc에 AWS EKS 클러스터 등록하기
Today Keys : Arc, hybrid, multi, cloud, 하이브리드, 멀티 , kubernetes, cluster, 클러스터, 쿠버네스, 애저, azure 이번 포스팅은 AWS EKS 클러스터를 Azure Arc에 등록하는 예제입니다. Azure에서는 Azure의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전략(?)인 Azure Arc를 이용해서,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엣지 등의 모든 인프라 환경의 광범위한 자원을 Azure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관리 자원은 Windows, Linux 서버, SQL 서버 뿐 아니라, Kubernetes 클러스터도 포함됩니다. Azure Arc를 통해서 Azure의 Kubernetes 클러스터 뿐 아니라, AWS의 EKS나 , GCP의 GKE를 포함한 모든 ..
DNS 동작방식
Today Keys : DNS, Domain, 동작방식, 도메인, 53, tld, 질의, 쿼리, 소개, 루트, root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3장과 7.2.2장의 내용입니다 7.2.3 DNS 동작 방식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려면 DNS 서버에 도메인 쿼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DNS 서버없이 로컬에 도메인과 IP 주소를 직접 설정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로컬에서 도메인과 IP 주소를 관리하는 파일을 hosts 파일이라고 합니다. hosts 파일에 도메인과 IP 주소를 설정 해두면 해당 도메인 리스트는 항상 DNS 캐시에 저장됩니다. 도메인을 쿼리하면 DNS 서버에 쿼리를 하기 전 로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