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이야기

(630)
Cisco ACI Bridge Domain 관련 이슈 공유 Last Update : 16.12.30 * MMM으로는 기본 VIP 전환 시에, GARP 를 발생하여 Table 갱신이 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조치할 수 있을만한 방법은 VIP에 대해서 VIP 전환 시점에 Source-Ping을 하던지, 아니면 주기적으로 동일 대역 내에서 VIP에 PIng을 쳐서, 지속적으로 갱신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주기적으로 VIP 전환 시 Ping을 체크하는 경우도 아래의 설정은 필요로 합니다. 추가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은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랜만에 하는 포스팅은 Cisco ACI에 대한 관련 이슈 공유 내용입니다. Bridge Domain에서의 기본 설정인 Hardware Proxy와 관련한 이슈 사항입니다. 앞으로 아마도 ACI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하..
[PDF]Nexus 기초 따라잡기 안녕하세요. 네떡지기입니다. 본 블로그에서 나름 오랜(?)기간 포스팅 했었던.. 시리즈인.. Nexus 기초 따라잡기에 대한 PDF판을 공개합니다. 아무래도 시간이 좀 지난거라서 달라진 부분들도 있을꺼고, 미처 잘못 작성된 것을 수정하지 못한 부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커다란 맥락에서는 큰 부분이 달라지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하고.. 달라지는 부분들도 기존의 것들을 알고 있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2016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PDF판으로 공개를 합니다. 표지,간지를 포함하여.. 무려. 192페이지에 달하는...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 p.s. 2016년에는.. 기존의 포스팅과 더불어... 또 다른.. 장기 시리즈가 시작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Puppet Part 6 Today Key : Puppet, 퍼펫, Environment, 환경, Manifest, Group, 그룹, Production, conf, automation, 자동화 새로 쓰는 Puppet 관련 6번째 포스팅입니다. 정리를 해두고, 포스팅 하는 데까지 이래저래 시일이 걸리기도 하고 다른 것들을 보느라, 더뎌지고 있지만.. 앞으로 더 포스팅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Puppet의 Agent를 그룹화 하여 관리할 수 있는 Environment에 대한 내용입니다. Environment에 대한 전부를 다루는 것은 아니지만, Environment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Puppet Environments ▪ Production, QA, Development 와 같은 다양..
Puppet Part 5 Today key : Puppet, 퍼펫, manifest, autumation, 자동화, class, 클래스, module, 모듈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Puppet의 5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과 연장선상에 있는 manifest 모듈 작성과 관련한 내용입니다. 지난 포스팅이 하나의 Environment에 대한 내용이었다면, 이번 포스팅은 다양한 Environment에서 사용 가능한 모듈을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아마도 모듈에 대한 내용은 추가적인 포스팅이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잘못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Puppet Part 5 Puppet Module 1 •manifest에서 Class를 사용하기 위해서 Class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
Puppet Part 4 Today key : Puppet, 퍼펫, manifest, autumation, 자동화, class, 클래스, 상속, inherits, 매개변수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Puppet의 4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Puppet의 Manifest를 모듈화 하여 작성하기 위한 방법인 class 작성 방법과 예제입니다. 기존의 OOP에서처럼, 모듈화하고, 코드의 재사용 등 기존의 OOP의 class와 동일한 쓰임새로 사용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혹시 잘못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Puppet Part 4 Puppet Class •manifest에 자주 사용되는 내용들은 별도의 Class로 구성하여 사용 가능. •별도의 Class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Environment..
Puppet Part 3 Today key : Puppet, 퍼펫, manifest, autumation, 자동화, Architecture, 아키텍처, Catalog, 카탈로그, facts 지난 번에 이은, Puppet의 3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Puppet을 조금 더 이해하기 위한 간단한 아키텍처와 동작 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짧지만, 정리하는 데로 추가로 올리거나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혹시 잘못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Puppet Part 3 Puppet Architecture 일반 • Puppet은 일반적은 master/agent(혹은 Server/Client) 구조의 Puppet Master와 Puppet Agent로 사용. • Puppet Apply Applicat..
Puppet Part2 Today key : Puppet, 퍼펫, manifest, autumation, 자동화, ruby, resource, title, attribute, value, 명세서 지난 번에 이은, Puppet의 2번째 포스팅입니다. 사실 이번 포스팅은 예전에 정리했던 Automation for Networker 주제의 포스팅을 다시 재가공하였습니다. 기존에 포스팅한 것보다는 조금 내용이 변경 혹은 추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몇 번에 걸쳐서 추가 포스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지, 포스팅 전에 테스트와 무작정 정리한 걸 다시 포스팅 용으로 작성 하는 데 시간이 걸려서. 언제 올라올지는 모르겠지만.. 멀지 않은 시일 내에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잘못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
Puppet Part 1 Today key : Puppet, 퍼펫, manifest, autumation, 자동화, 설치, install, master, agent 이번 포스팅은 Puppet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약 2년여전에 관련 Automation for Networker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할 때 ansible과 함께 잠깐 정리했던 내용을 다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제 포스팅이 대체로 제가 다시 보기 위해서 정리하면서 공유하는 게 목적이오니~ 보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그리고 혹시 잘못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Puppet를 사용하기 위한 요구사항 ◇ 하드웨어 · 최소 Puppet master server : 2CPU Core, 1GB RAM · 약 1,000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