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이야기

(625)
AWS PrivateLink를 통한 VPC Resource 접근 - Part 2 Today Key : aws, privatelink, vpc, resource, endpoint, single, child, arn, group 지난 12월 1일  공개된 'AWS announces access to VPC resources over AWS PrivateLink' 에 대한 내용에 대한 두 번 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외부에서 Resource Gateway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한 Resource를 선언하는 Resource Configuration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려고 합니다. → 기존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세요 : https://zigispace.net/1310Resource Configuration의 유형은 Resource와 Resource Group으로 나뉩니다. Re..
AWS PrivateLink 교차 리전(Cross Region) 지원 Today Key : aws, privatelink, vpc, regipn, endpoint, 엔드포인트, private, cross, 교차, 리전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11월 26일  공개된 'AWS PrivateLink 교차 리전(Cross Region) 지원' 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존의 Interface VPC Endpoint는 동일 리전의 VPC Endpoint Service에 대해서만 연결이 가능 했지만,  동일한 AWS Partition에 속한 AWS Regions 에서 호스팅 되는 VPC Endpoint Service를 Interface Endpoint를 통해서 지원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PrivateLink 교차 리전 구성을 통해, VPC  Endpoint Service가 구성된 ..
AWS PrivateLink를 통한 VPC Resource 접근 - Part 1 Today Key : aws, privatelink, vpc, resource, endpoint, 리소스, 엔드포인트, over, private, on-premises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12월 1일  공개된 'AWS announces access to VPC resources over AWS PrivateLink' 에 대한 내용입니다.  VPC Endpoint를 이용해서 VPC PrivateLink를 경유하여 VPC에 인입하여, VPC 내부 Resource나 VPC에 연결된 On-Premises의 리소스에 연결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 Network Load Balancer를 이용하여 VPC Endpoint Service를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했지만, 이제 별도의 Network ..
Application Load Balancer 및 Network Load Balancer의 로드 밸런서 용량 단위(LCU) 예약 지원 Today Keys :  ALB, NLB, Load Balancer, LCU, Capacity, Units, 용량, 예약, Reservat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11월 20일에 AWS에서 발표한 Application Load Balancer(ALB) 및 Network Load Balancer(NLB)의 로드 밸런서 용량 단위(Load Balancer Capacity Units, 이하 LCU) 예약 지원 기능에 대해 다룹니다. 기존의 Application Load Balancer(이하 ALB) 와 Network Load Balancer(이하 NLB) 는 트래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규모가 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트래픽 급증이나 예측 가능한 이벤트가 있는 경우, 로드..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3 이번 포스팅에서는 Ubuntu에서 Netplan으로 설정한 DNS가 2차 이상으로 여러 개 일 때, DNS 질의가 실패 할 경우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테스트를 통해서 알아봅니다.Netplan에서 적용하는 Yaml에 다음과 같이 nameserver 설정을 해두었습니다.위에서 부터 차례로 1차 DNS, 2차 DNS로 순서가 정해집니다.설정한 Yaml 파일을 netplan apply로 적용하고 나면, resolvectl status 명령으로 systemd-resolved에서 사용 할 DNS Server 정보가 갱신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도메인 질의(Query)하는 패킷을 tcpdump로 확인해 보면, 1차 DNS로 설정된 8.8.8.8로 도메인 질의를 하고 응답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2 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지난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DNS 질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구성요소인, systemd-networkd, system-resolved, resolv.conf과 함께Netplan을 통한 DNS 설정 흐름을 알아보았습니다.https://zigispace.net/1303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1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리눅스..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1 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리눅스에서 DNS가 어떤 흐름으로 동작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서버와 네트워크를 관리할 때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본기 중 하나입니다.특히 systemd가 도입된 이후에는 전통적인 resolv.conf 외에도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같은 새로운 구성 요소가 등장하면서 동작 방식이 조금 더 복잡해졌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DN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세 가지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또한 Netplan을 이용하여 DNS를 설정할 경우 내부적으로 어떻게 흐름이 구성되는지와 실제 ..
Azure OpenAI Structured Outputs Today Key : structured, outputs, azure, openai, ai, 구조화, 출력, chatgpt, gpt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8월 6일에서 ChatGPT에  추가 된  API에서의 Structured Outputs에 대한 내용입니다. Structured Outputs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살펴보고, 사용 예시를 몇 가지 정리했습니다.Structured outputsStructured outputs는 API를 통해서 ChatGPT 모델 사용 시, 출력 값을 개발자가 사전에 제공한 JSON Schema에 따라 모델이 일관된 형식의 답변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함수 호출이나, 비정형 데이터에서 구조화돈 데이터 추출, 복잡한 다단계 워크플로우 구축에 활용 가능합니다.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