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이야기

(632)
UDP(User Datagram Protocol) Today Keys : protocol, 계층, service, port, 포트, 서비스, UDP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4.3장의 내용입니다. UDP TCP와 달리 UDP는 4계층 프로토콜이 가져야 할 특징이 거의 없습니다. 4계층에서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위해 연결을 미리 확립(3방향 핸드셰이크)했고 데이터를 잘 분할하고 조립하기 위해 패킷 번호를 부여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응답하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데이터를 특정 단위(윈도 사이즈)로 보내고 메모리에 유지하다가 ACK 번호를 받은 후 통신 이 잘 된 상황을 파악하고나서야 메모리에서 이 데이터들을 제거했습니다. 중간에 유실이 있으면 시퀀스 번호와 ACK 번..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oday Keys : protocol, 계층, service, port, 포트, 서비스, TCP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4.2장의 내용입니다. TCP TCP는 3.4.1 4계층 프로토콜(TCP, UDP)과 서비스 포트 절에서 간단히 다루었던 4계층의 특징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습니다. TCP 프로토콜은 신뢰할 수 없는 공용망에서도 정보유실 없는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세션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패킷이 잘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패킷에 번호(Sequence Number)를 부여하고 잘 전송되었는지에 대해 응답(Acknowledge Number)합니다. 또한, 한꺼번에 얼마나 보내야..
4계층 프로토콜(TCP, UDP)과 서비스 포트 Today Keys : protocol, 계층, service, port, 포트, 서비스, 헤더, 프로토콜, 지시자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4.1장의 내용입니다. 4계층 프로토콜(TCP, UDP)과 서비스 포트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인캡슐레이션, 디캡슐레이션 과정에 각 계층에서 정의하는 헤더가 추가되고 여러 가지 정보가 들어갑니다. 다양한 정보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정보는 ● 각 계층에서 정의하는 정보 ●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정보 입니다. 각 계층을 정의하는 정보는 수신 측의 동일 계층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송신 측에서 추가한 2계층 헤더의 MAC 주소 정보는 수신 측의 2계층에서 확인하고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Public/Private IP address) Today Keys : IPv4, IP주소, IP Address, 공인, 사설, public, private, asn, whois, bogon, rfc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3.4장의 내용입니다. 공인 IP와 사설 IP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IP 주소가 있어야 하고 이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 하는 식별자입니다. 이런 IP 주소를 공인 IP라고 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한다면 공인 IP 주소를 할당받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IP 주소 를 사설 IP 주소라고 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통신사업자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거나 IP 할 당기관(..
서브네팅(Subnetting) Today Keys : IPv4, IP주소, IP Address, 서브넷, subnet, 서브네팅, subnetting, host, network, IP 설계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3.2장의 내용입니다. 서브네팅 원래 부여된 클래스의 기준을 무시하고 새로운 네트워크-호스트 구분 기준을 사용자가 정해 원래 클래스풀 단위의 네트워크보다 더 쪼개 사용하는 것을 서브네팅(Subnetting)이라고 합니다. 부여 된 주소를 다시 잘라 사용해 서브네팅이라고 부르는데 현대 클래스리스 네트워크의 가장 큰 특징 입니다. 옥텟 단위로 구분되는 서브네팅은 이해와 운영이 쉽지만 실제로는 옥텟 단위보다 더 잘게 네트워크를 쪼개 2진수의 ..
클래스풀(Classful)과 클래스리스(Classless) Today Keys : IPv4, IP주소, IP Address, 클래스풀, 클래스리스, class, classful, 서브넷 마스크, CIDR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3.2장의 내용입니다. 클래스풀과 클래스리스 IP 주소 체계에서 설명한 클래스(Class) 기반의 IP 주소 체계를 클래스풀(Classful)이라고 부릅니다. IP 주소 체계를 처음 만들었을 때는 클래스 개념을 도입한 것이 확장성이 있고 주소 낭 비가 적은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있었던 좋은 선택이었습니다. 이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주 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짓는 구분자(서브넷 마스크)가 필요없습니다. 맨 앞자리 숫자만 보면 자연스럽게 이 주소가 ..
IP 주소와 IP 주소 체계 Today Keys : IP 주소, IP 주소 체계, IP Address, 옥텟, octet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3. 네트워크 통신하기'의 내용 3.3장, 3.3.1장의 내용입니다. IP 주소 OSI 7계층에서 주소를 갖는 계층은 2계층과 3계층입니다. 2계층은 물리 주소인 MAC 주소를 사용하고 3계층은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TCP/IP로 동작하므로 IP 주소 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네트워크 이해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3계층 주소인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를 포함한 다른 프로토콜 스택의 3계층 주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논리 주소입니다. 2. ..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 Part 10(DSR 시- 루프백설정 2) Today Keys : 로드밸런서, L4, L7, 부하분산, Load Balancer, Load Balancing, 동작 모드, DSR, 루프백, 윈도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12. 로드밸런서'의 내용 중 소개 및 12.6장의 내용입니다. 윈도 서버에서 루프백 인터페이스 설정 윈도 서버에서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행에서 hdwwiz를 실행해 바 로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실행합니다.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 설치(고급)(M)을 선택합니다. 일반 하드웨어 종류에서 루프백 인터페이스도 일종의 네트워크 어댑터이므로 네트워크 어댑터를 선택합니다. 제조업체에서는 Microsoft를 선택하고 모델에서 Microsoft KM-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