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메인

(12)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2 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지난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DNS 질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구성요소인, systemd-networkd, system-resolved, resolv.conf과 함께Netplan을 통한 DNS 설정 흐름을 알아보았습니다.https://zigispace.net/1303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1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리눅스..
dig 명령어를 활용한 DNS 정보 확인 dig 명령어를 활용한 DNS 정보 확인DNS 관련 문제를 해결하거나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점검할 때, 서버 관리자는 다양한 진단 도구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dig는 가장 많이 활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dig는 DNS 서버에 직접 질의하여 도메인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도구로,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dig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 메일 서버 정보, 네임서버 목록 등 다양한 레코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잡한 DNS 설정 문제를 진단하거나 보안 점검을 수행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웹 서비스 운영이 일반화되면서, DNS 정보의 정확성과 응답 속도, 그리고 구조적인 설계가 점점 더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호스트 파일 설정 Today Keys : DNS, Domain, 도메인, 53,host, 호스트, 레코드, record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9장의 내용입니다 7.2.9 호스트 파일 설정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DNS를 이용해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방법 외에도 도메인과 IP 주소를 매핑해놓은 hosts 파일을 이용하여 '도메인-IP 주소' 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NS 기능이 개발되기 전부터 사용하던 방식이고 일반적으로 현대 인터넷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테스트 목적 등으로 특정 도메인에 대해 임의로 설정한 값으로 도메인을 접속할 때 이 hosts 파일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예 : DNS 등록 전에 내부 테..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내용 - 1 Today Keys : DNS, Domain, 도메인, 53, ttl, delegatin, 위임, gs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6장의 내용입니다 7.2.6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내용 이번 장에서는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다음 주제를 다룹니다. 도메인위임 TTL 화이트도메인 한글도메인 도메인 위임은 7.3 GSLB 절에서 다루는 GSLB 구성 때도 사용되고 TTL은 도메인 변경작업을 위 해 알아두면 좋습니다. 메일 서버 운영 시 필요한 화이트 도메인 개념과 기존 영문 도메인이 아니 라 도메인을 한글로 운영하기 위한 한글 도메인까지 이번 장에서 다룹니다 7.2.6.1 도메인 위임(DNS Delegati..
Windows Server : DNS Policy - 1 Today Keys : dns windows, server, policy, 정책, record, zone, scope, query, 도메인, domain 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Server에서 DNS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 할 수 있는 DNS Policy에 대한 2가지 예제를 살펴봅니다. 첫 번째 예제에서는 DNS Query를 보내는 사용자 혹은 서버의 IP 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Record 값을 응답하게 합니다. 두 번째 예제에서는 DNS가 2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DNS Query를 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서로 다른 Record 값을 응답하게 합니다. 이러 예제를 활용하면 DNS 서버를 분리하지 않고 특정 도메인에 대해서 사내 서버와 외부 서버에서 다른 Rec..
Azure Private DNS Resolvers 구성해보기 Today Keys : private, dns, resolver, domain, hybrid, on-premises, 도메인, conditional, forwarder, forwarding, rule 이번 포스팅 지난 5월 17일에 Public Preview로 공개된, Azure DNS Private Resolver에 대한 테스트를 해보는 내용입니다. 기존의 Hybrid Cloud 환경에서 On-Premises와 DNS Query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Azure VNet 내에 IaaS로 기반의 DNS 솔루션을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해야 했지만, 이제 Managed 형태의 서비스로 On-Premises ↔ Azure 간의 DNS 조회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뤄진 아키텍처입니다. On-P..
AWS Network Load Balancer의 Target 상태 및 옵션에 따른 NLB DNS 응답 방식 Today Keys : Network, load balancer, balancing, cross-zone, crosszone, 교차영역, 가용영역, dns, 도메인, query 이번 포스팅은 AWS Network Load Balancer에서 가용 영역 내에 위치한 Target의 상태(healthy 혹은 unhealthy)와 Cross-zone load balancing 옵션에 따라서, NLB의 DNS 이름에 대한 질의와 응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보는 내용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게 된 기본 구성입니다. Internet facing 상태의 Network Load Balancer가 있고, 2개의 가용 영역에 매핑이 된 상태입니다. 각 가용 영역에는 1개씩의 Target(웹서버)이 존재합니다. Net..
Route 53 Resolver DNS 방화벽 Today Keys : route 53, resolver, dns, firewall, 도메인, domain, query, 질의, 방화벽, firewall manager 이번 포스팅은 VPC 내에서 도메인 질의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형 DNS 방화벽인, Route 53 Resolver DNS 방화벽에 대한 예제 포스팅입니다. Route 53 Resolver DNS 방화벽 적용을 위한 규칙 그룹과 도메인 목록을 만들어서, VPC에 적용하여 어떻게 제어를 하는지 간단하게 살펴봅니다. Route 53 Resolver DNS 방화벽을 이용하면 VPC 내에서 아웃바운드 DNS 트래픽을 Filtering을 통해 도메인 질의를 제한 할 수 있습니다. 규칙 그룹을 추가하는 첫 번째 Step는 규칙 그룹을 이름을 정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