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

(75)
GCP Interconnect - Part 1 (Partner Interconnect 예제) Today Keys : Interconnect, 상호연결, hybrid, 하이브리드, gcp, 구글, google, cloud, partner, dedicated, vlan, router 이번 포스팅은 GCP(Google Cloud Plarform)의 전용선 서비스인 Interconnect 에서 Partner Interconnect에 대한 예제 포스팅입니다. Interconnet 에는 Dedicated와 Partner Interconnect가 있으며, Partner Interconnect 연결 시 L2/L3 방식으로 다시 또 나눌 수 있습니다. Interconnect에 대한 정리 포스팅은 추후에 진행 할 예정입니다. GCP Partner Interconnect 연동 절차 VLAN 연결 만들기 ▪ VLAN..
OCI - VCN Part 1 Today Keys : OCI , VCN , Network, 오라클 , 클라욷 , Cloud, 서브넷 , Gateway, 가상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Oracle Cloud Infrastructure의 가상 네트워크인 VCN에 대한 첫 번째 정리 내용입니다. VCN(Virtual Cloud Network) ▪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에서 생성해서 사용하는 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 리전에 종속적인 서비스 ▪ VCN은 생성 후, 변경이 불가하며 생성 시에 설정한 CIDR Block 이외에 추가할 수 없음(1개 CIDR Block만 사용) ▪ RFC 1918의 사설을 사용해야 하지만, 다른 대역로 설정해서 사용 가능 ▪ VCN과 연결되는 다른 네트워크와 IP 대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함..
Azure Kubenetes Service(AKS) : Network Part 1 Today Keys :AKS, network, kubenetes, kubenet, CNI, vnet, cluster, 네트워크, 쿠버네티스, cloud Azure의 Managed Kubernetes 서비스인 AKS의 네트워크에 대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2가지 네트워크 모든 Kubenet 네트워킹, Azure CNI 네트워킹과 Load Balancer에 대한 정리입니다. Kubenet 네트워킹 ▪ AKS 클러스터에서의 기본 네트워킹 방식 ▪ Node는 VNet 서브넷 IP를 할당받고, Pod는 별도의 IP Address에서 할당 ▪ Node만 라우팅이 가능한 대역을 할당받고, Pod는 NAT를 이용해서 외부와 통신 ▪ IP 주소 공간을 절약 ▪ Kubernets 내부 또는 외부 부하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Oracle Cloud - Fast Connect Part 1 Today Keys : OCI , cloud, oracle , infrastructure, fastconnect , 전용선, connection, circuit, private, provider 이번 포스팅은 Oracle Cloud의 전용선 서비스인 Fast Connect 중에서 'Oracle Provider' 방식 연동 예제입니다. Fast Connect에 대한 기본 포스팅은 추후에 별도로 할 예정입니다. FastConnect 메뉴에서 'Create FastConnect'를 선택합니다. FastConnect 연결 방식 중에서 'Use Oracle Provider'를 선택합니다. Oracle Provider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리전에서 지원되는 Provider를 고르게 되는 데 서울 리전에서 Fast..
[발표자료] Global Azure Virtual 2020 Today Keys : Azure, Global , Virtual , GAV2020 , hybri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cloud , 애저 지난 주 토요일(4월 25일)에 진행된 Global Azure Virtual 2020 세션 자료입니다. 기존에 진행했던 Ignite The Tour Seoul의 발표자료와 같은 듯? 조금 다른 듯? 한.. 세션입니다.
Lambda Function을 위한 향상된 VPC 네트워크 Today Keys : Lambda , function , vpc , hyperplane , network , eni , cold start , 람다 , 네트워크 , aws , 클라우드 , cloud 이번 포스팅은 Lambda Function을 위한 향상된 VPC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AWS 공식 블로그에서도 볼 수 있는 내용이지만,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존 네트워크 모델 ▪ Lambda의 모든 컴퓨팅 인프라는 서비스가 소유한 VPC(default system-managed) 내에서 실행 ▪ Lambda를 이용해서 VPC 내에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Lambda를 VPC에 연결 할 수 있음. ▪ Lambda가 VPC 내에 접근하기 위해서 Lambda가 VPC로 접근할 수 ..
Azure Network - NAT Gateway Part 2 Today Keys : NAT , Gateway , 게이트웨이 , managed ,snat, network , pat , napt , azure , cloud, 클라우드 , 매니지드 이번 포스팅은 지난 2월 19일에 다루었던 Azure NAT Gateway에 대한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포스팅 때에는 Preview 상태였으나, 3월 12일에 GA되었네요. NAT Gateway Part 1에서는 Azure NAT를 만들어서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 NAT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 내용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Azure NAT Gateway ▪ 가상 네트워크에 대한 아웃바운드 인터넷 연결을 위한 매니지드 컴포넌트 ▪ NAT Gateway에서 사용하는 공인 IP 주소는 'Pub..
[Azure/AWS]Public Cloud와 온프레미스 간의 IP 중복 시, 서비스 통신 방법 Today Keys : ip 중복, ip overlap , hybrid , 하이브리드, 충돌 , public , cloud , 클라우드 , aws , azure , private link 이번 포스팅에서는 Public Cloud와 온프레미스 간의 네트워크 대역이 중복된 경우에 서비스 호출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물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을 위해서는 중복되지 않은 IP 설계를 해야겠으나, 이미 기존에 구축된 서비스 간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Public Cloud와 On-Premise를 연동해서 쓰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설계 시에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는 IP 설계입니다. 하이브리드 구성을 위해서는 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