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2
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지난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DNS 질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구성요소인, systemd-networkd, system-resolved, resolv.conf과 함께Netplan을 통한 DNS 설정 흐름을 알아보았습니다.https://zigispace.net/1303 Linux에서 DNS 질의(Query) 동작 이해 (Ubuntu 기준) - Part 1Today Key : systemd-networkd, systemd-resolved, resolv.conf, dns, ubuntu, netplan, query, 질의, linux리눅스..
DNS Zone Transfer 설정 (Windows Server 기준)
Today Keys : dns, zone, transfer, 존트랜스퍼, 복제, 존, zone transfer, primary, secondary, windows, domain, name지난 포스팅에서는 DNS Zone Transfer가 어떤 것인지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Server에서 DNS Zone Transfer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실제 구성하면서 알아봅니다.DNS Zone Transfer를 알아보기 위해 Windows 서버를 2대를 구성합니다.각 서버에서는 DNS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1번 서버는 172.16.0.62번 서버는 172.16.0.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Mater Server 설정Master 서버에서의 정방향 조회(Forward Lookup Zones..
S3 Interface Endpoint에 대한 DNS Name 지원
Today Keys : S3, dns, name, onprem, on-premises, interface, endpoint, private link, resolver, route53, hybrid, 온프레미스 이번 포스팅은 S3 Interface Endpoint에 대한 DNS name 속성을 사용하여 On-Premises에서 DX/VPN으로 S3 접근 시 S3의 리전 DNS Name으로 접근하도록 구성해보는 포스팅입니다. 기존에는 S3 Interface Endpoint에서는 다른 Interface Endpoint에서 지원되는 DNS name 속성이 지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On-Premises에서 접근 시에 Interface Endpoint 별도의 DNS Name을 사용해서 접근을 했지만, 이번에 DNS ..
GSLB - 3
Today Keys : gslb, global, server, service, load, balancing, dns, name, server, 네임, 서버, 도메인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3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3.3장의 내용입니다 7.3.3 GSLB 분산 방식 GSLB를 이용해 서비스를 분산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제공의가능 여부를 체크해 트래픽 분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른 데이터센터에 트래픽 분산 지역적으로 가까운 서비스에 접속해 더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분산 서비스 헬스 체크를 통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 외에 서로 다른 사이트로 서비스를 분 산시키는 것이 GSLB의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