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LB - 1
Today Keys : gslb, global, server, service, load, balancing, dns, name, server, 네임, 서버, 도메인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3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3.1장의 내용입니다 7.3 GSLB DNS에서 동일한 레코드 이름으로 서로 다른 IP 주소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 하면 도메인 질의에 따라 응답받는 IP 주소를 나누어 로드밸런싱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DNS 로 드밸런싱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DNS만 이용한 로드밸런싱으로는 정상적인 서비스를 할 수 없습 니다. DNS는 설정된 서비스 상태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도메인에 대한 질의에 대해 설정 된 값..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내용 - 2
Today Keys : DNS, Domain, 도메인, 53, 퓨니코드, punycode, 한글, 화이트, rbl, 스팸, 위임, gslb 본 포스팅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길벗] 서적에 포함된 '7.2 DNS'장의 내용 중 소개 및 7.2.6장의 내용입니다 7.2.6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내용 이번 장에서는 DNS에서 알아두면 좋은 다음 주제를 다룹니다. 도메인위임 TTL 화이트도메인 한글도메인 도메인 위임은 7.3 GSLB 절에서 다루는 GSLB 구성 때도 사용되고 TTL은 도메인 변경작업을 위 해 알아두면 좋습니다. 메일 서버 운영 시 필요한 화이트 도메인 개념과 기존 영문 도메인이 아니 라 도메인을 한글로 운영하기 위한 한글 도메인까지 이번 장에서 다룹니다 7.2.6.1 도..
Windows Server : DNS Policy - 1
Today Keys : dns windows, server, policy, 정책, record, zone, scope, query, 도메인, domain 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 Server에서 DNS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 할 수 있는 DNS Policy에 대한 2가지 예제를 살펴봅니다. 첫 번째 예제에서는 DNS Query를 보내는 사용자 혹은 서버의 IP 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Record 값을 응답하게 합니다. 두 번째 예제에서는 DNS가 2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DNS Query를 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서로 다른 Record 값을 응답하게 합니다. 이러 예제를 활용하면 DNS 서버를 분리하지 않고 특정 도메인에 대해서 사내 서버와 외부 서버에서 다른 R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