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이야기

(630)
Day 2 - OSPF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대규모 망에서 사용 ► 설정 방법이 어려움 ► 네트워크 자원 소모 (but 요즘 장비가 좋아서 큰 문제가 되지 않음) ► IP 패킷에서 프로토콜 번호 89번 사용하여 라우팅 정보 전송. ► 안정되고 다양한 기능 ► RFC 2328 ◈ OSPF 용어 ► Adjancent neighbor :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네이버 ► LSA(Link State Advertisement) : OSPF 에서의 라우팅 정보 ► Process ID : 라우터에서 복수개의 OSPF 프로세스 동작 시, 상호 구분하기 위한 목적 : 변동되지 않는 IP주소로 사용해야함 ► Router ID : LSA 전송 시 포함. 변동되지 않는 주소로 해주어야 함(Ex. Loopb..
Loopback interface [루프백 인터페이스] 1. Loopback Interface는 interface Loopback0 라는 식으로 설정하구요.. ip address x.x.x.x x.x.x.x 라는 식으로 기존의 Interface 설정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 녀석은 생성하는 그 순간부터 수동으로 Down을 시키지 않는한 항상 Up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첫번째 경우입니다. 2. Loopback Interface를 사용하는 이유는 OSPF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OSPF는 BroadCast 구간 내에서는 DR과 BDR을 선출을 합니다. 기존의 IS-IS와는 달리 모든 네이버와 인접관계를 맺는 방식이 아니라 OSPF의 BroadCast영역에서는 동일한 Area 영역에 있는 라우터들은 DR과 BDR 이라는 녀석하고..
다이나밉스 사용 시 기본 설정 enable config terminal no ip domain-lookup enable secret cisco interface s1/0 encapsulation frame-relay no frame-relay inverse-arp no shut clock rate 64000 alias exec c configure terminal alias exec i show ip route alias exec r show running-config alias exec b show ip interface brief line console 0 logging synchronous exec-timeout 0 line vty 0 4 password cisco hostname Router
IP Addr. Range / CIDR Conv. Table IP Addr. Range / CIDR Conv. Table IP Address Range ========================================================== A 0.0.0.0 default route 1.0.0.0~126.0.0.0 사용가능 127.0.0.0 loopback 10.0.0.0~10.255.255.255 private ========================================================== B 128.0.0.0~191.254.0.0 사용가능 191.255.0.0 172.16.0.0~172.31.255.255 private ========================================================..
CIDR / 슈퍼넷 CIDR (Classless Inter Domain Routing) : BGP에서 쓰이며, 라우팅 정보를 전달할 때 Summary해서 보내는 것 슈퍼넷 : 기존의 클래스 범위(A,B,C클래스)보다 상위 크기로 Summary 하는 것. CIDR은 슈퍼넷의 개념을 포함한다.
스위치에서 매크로 설정하기 http://cafe.naver.com/neteg/62848
유닉스 기본 명령어 ---------------------------------------------------------------- (1) cd 작업 디렉토리 변경 % cd dir-name (2)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 허가 권한 변경 % chmod +x filename (r: 읽기 w:쓰기 x:실행하기) % chmod 755 filename (3) ln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링크 만들기 % ln file1 file2 : 하드링크설정 % ln -s file1 file2 : 심볼릭 링크 설정 (4) ls 파일또는 디렉토리 정보를 화면에 출력 % ls –l % ls -lrt : 파일의 가장 최근 수정시간으로 정렬하여 출력 % ls -li : inode번호를 포함한 파일 정보를 출력 (5) mkdir 디렉토리 만들기 %..
실무에서 잘 쓰이는 명령 실무자 입장에서 알아두면 유용한 명령어 몇개를 정리해 봅니다. 머.. 다들 알고 계시는 내용입니다만...^^; [1] config 내용볼때 라인 번호 나오게하기 zero-7206vxr#sh run linenum Building configuration... Current configuration : 9355 bytes 1 : ! 2 : ! Last configuration change at 16:23:26 KST Tue Jan 24 2006 3 : ! NVRAM config last updated at 16:23:27 KST Tue Jan 24 2006 4 : ! 5 : version 12.2 6 : no service pad 7 : service timestamps debug uptime 8 : 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