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Gateway Load Balancer - Part 1
Today Keys : gateway load balancer, gwld, 게이트웨이, 로드밸런서, geneve, firewall, ips, ids, ingress routing, aws 이번 포스팅은 Partner Appliance의 간편한 배포, 확장성, 고가용성 제공을 위한 Gateway Load Balancer에 대한 예제입니다. 기존의 3rd-Party를 이용하여 방화벽 등을 구축하는 경우에 설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은 것을 물론, 운영에 대한 복잡도 증가 및 제약 사항이 존재하였으나, Gateway Load Balancer를 이용하게 되면 이러한 부분들을 거의 해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Gateway Load Balancer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으며, 기존..
AWS Network Firewall - Part 1
Today Keys : firewall, network, vpc, aws, 방화벽, managed, endpoint, 관리형, proxy, 네트워크, policy, rule, group 이번 포스팅은 AWS Network Firewall 입니다. Managed 서비스로 이제 방화벽이 제공되고, 다양한 기능도 있어서 사용자 요건에 따라서 좀 더 좋은 아키텍처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방화벽 처리를 하여도 Proxy되지 않아서 출발지 IP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내용 정리를 다루기는 어려울 것 같고, 그런한 정리도 몇 번에 걸쳐서 될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AWS Network Firewall을 다양한 메뉴를 보고, 간단한 테스트 예제를 다룹..
Azure Kubernets Service(AKS) : Network Part 2
Today Keys : kubenet, address, space, subnet, ip, range, aks, azure, kubernetes, 네트워크, cluster, vnet, network Azure AKS Cluster 생성 시, Azure Portal에서 Kubenet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AKS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이 자동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원하는 네트워크 대역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이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Azure CLI로 AKS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 Portal에서와 Azure CLI에서 AKS Cluster를 생성해서 나오는 AKS 네트워크 설정을 간단히 알아봅니다. 참고로 본 포스팅에서는 kubenet으로 AKS Cluster 생성 시에 네트..
AWS NAT Gateway로 Private NAT 구성하기
Today Keys : nat, snat, source nat, gateway, managed, aws, cloud, network, forward, 클라우드 AWS의 Private Subnet에서 인터넷으로 나가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Managed Service로 NAT Gateway가 있습니다. NAT Gateway를 AWS 내 사설 IP에서 인터넷으로 가기 위한 용도 뿐 아니라, On-Premise등 또 다른 사설로 가기 위한 Managed NAT로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NAT Gateway를 이용해서 VPC에서 다른 Private으로 가기 위한 Managed NAT로 사용해보는 예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테스트를 위해서 만든 테스트 환경입니다. 왼쪽의 ZIGI-VPC에는 Z..
Azure RBAC : Part 1
Today Keys : RBAC, role, azure, cloud, access, 액세스, 역할, assignments, 역할할당, 속성, resource, 리소스 Azure RBAC에 대한 정리 내용입니다.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 역할 기반 엑세스 제어 ▪ Azure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Azure Resource Manager 기반의 권한 부여 시스템 ▪ 역할 할당(role assignments)을 통해서 권한 관리가 되며, 역할 할당에는 '보안주체' , '역할 정의', '범위'의 요소로 구성 Role assignments - 역할 할당 ▪ Security principal - 보안주체 - 사용자 - 그룹 Azure Active Di..
Azure VNet -Peering 5 (Gateway Transit 설정)
Today Keys : peering, gateway , transit , allow, remote, 피어링, 게이트웨이, azure, cloud, 네트워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VNet Peering을 통해서 설정 시에, Peering을 맺은 상대편 VNet의 Gateway를 통해서 상대편 VNet과 연결된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Gateway Transit에 설정에 대해서 다룹니다. 관련 속성에 대해서는 기존 포스팅(https://zigispace.net/1089)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Gateway Transit 설정 테스트를 위한 환경입니다. 먼저 Gateway Transit과 관련된 Peering 설정만 다루기 때문에 아래 테스트 환경을 먼저 설명하면, ZIGI-VNet0과 ZIGI-VNet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