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 가용성 영역과 가용성 집합 Part 1
Today Keys : 가용성 집합, Availability Set, Availability zones, 가용 영역,영역 중복 , redundant, 장애도메인, 업데이트 도메인, fd, ud, fault, update 이번 포스팅은 Azure의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s)과 가용성 집합(Availability Set) 그리고, 가용성 집합을 이루는 장애 도메인(Fault Domain)과 업데이트 도메인(Update 도메인), 마지막으로 근접 배치 그룹(Proximity placement group)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s) ▪ 가용성 리전 내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영역으로 구성. ▪ 각 영역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 ▪ 가..
Azure에서 Windows 2019 서버 언어팩 적용
Today Keys : Azure, 윈도우, windows, 영문, 한글, 언어팩, language, KB4476976 , LPKSetup, display, 한국어, kor 이번 포스팅은 계획되지 않은 포스팅이네요. Azure에서 Windows 서버에 한국어 언어팩 적용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원래는 그냥 언어 추가만 하면 바로 되었는 데... 정상적으로 되지 않은 상황이라.. 잠깐의 삽질을 한 것을 간단히 공유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Azure에서 Windows 서버 사용 시에 한국어 언어팩 적용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계획에 있던 포스팅도 아니고, 기존에 Windows 201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포스팅을 진행했으나, 테스트가 필요해서 Windows 2019로 진행을 해보려고 하니,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서..
Azure Network - NAT Gateway Part 1
Today Keys : NAT , Gateway , 게이트웨이 , managed , network , pat , napt , azure , cloud, 클라우드 , 매니지드 이번 포스팅은 Azure에서 Managed 서비스로 지원되는 NAT Gateway에 대한 예제입니다. NAT Gateway에 대해서는 추가 포스팅으로 좀 더 다뤄볼 예정이며, 이번에는 NAT Gateway를 만들고 테스트 정도만 해봅니다.아직은 Preview 상태이며, 지원되는 리전도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머지않은 시일 내에 GA 되기를 바래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게 될 구성도 입니다.VNet 내에 2개의 서브넷이 있으며, 1개의 서브넷은 기존과 동일하게 공인 IP를 직접 할당받도록 구성하고나머지 1개의 서브넷은 Azure Net..
Hybrid Cloud / Multi Account - DNS
Today Keys : route53 , resolver , dns , hybrid , cloud , multi , account , domain , 리졸버 , 도메인 , 하이브리드 , 클라우드 이번 포스팅은 AWS에서 Hybrid와 Multi Account 운영 시에 필요할 수 있는 상호 간의 도메인 질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Route53 Resolver을 이용하면, Hybrid와 Multi Account 운영 시의 도메인 질의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Hybrid와 Multi Account 간의 DNS 질의 Route53 Resolver를 통한 Hybrid 질의 지원 ▪ AWS와 On-Premise 서비스가 AWS DNS, On-Premise DNS에 등록된 도메인에 대해 질의가 필요할 ..
AWS - API Gateway 기반 VPC Link
Today Keys : API , gateway , vpc , link , 게이트웨이 , nlb , aws , 링크 , 연결 , 가용 이번 포스팅은 AWS API Gateway에서 VPC 내부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해서 사용 할 수 있는 VPC Link에 대한 예제 포스팅입니다. 사실 VPC Link를 이용하면, NLB에 대한 Target 지정에 따라 인터넷에 노출된 API Gateway를 이용해서 VPC 내부의 서비스 뿐만 아니라, On-Premise 서비스도 호출이 가능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게 될 VPC Link 예제에 대한 구성입니다. VPC 내에 ec2 2대로 각각 SVR#1, 2를 구성하고 각각의 웹서버를 띄웁니다. NLB에서는 각 서버에 대해서 80, 8080으로 리스너를 만들고 이렇게..
Azure - VirtualWAN Part 2
Today Keys : Virtual WAN , vWAN , VPN , Hub , VNet , 허브 , Gateway , Azure , 가상 , cloud , 애저 , network 이번 포스팅은 Azure Virtual WAN에 대한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Virtual WAN을 만들고 Virtual WAN을 통해서 Azure VNet 간의 통신을 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Site-to-Site VPN을 Azure Virtual WAN에 연결해서, On-Premise VPN Site와 Azure VNet 간의 통신이 되도록 하는 예제입니다. 아래 구성도는 이번 예제에서 진행하는 구성도입니다. Virtual WAN에 Site-to-Site VPN을 연결하고 통신 테스트를 합니다. V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