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Kubenetes Service(AKS) : Network Part 1
Today Keys :AKS, network, kubenetes, kubenet, CNI, vnet, cluster, 네트워크, 쿠버네티스, cloud Azure의 Managed Kubernetes 서비스인 AKS의 네트워크에 대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2가지 네트워크 모든 Kubenet 네트워킹, Azure CNI 네트워킹과 Load Balancer에 대한 정리입니다. Kubenet 네트워킹 ▪ AKS 클러스터에서의 기본 네트워킹 방식 ▪ Node는 VNet 서브넷 IP를 할당받고, Pod는 별도의 IP Address에서 할당 ▪ Node만 라우팅이 가능한 대역을 할당받고, Pod는 NAT를 이용해서 외부와 통신 ▪ IP 주소 공간을 절약 ▪ Kubernets 내부 또는 외부 부하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Lambda Function을 위한 향상된 VPC 네트워크
Today Keys : Lambda , function , vpc , hyperplane , network , eni , cold start , 람다 , 네트워크 , aws , 클라우드 , cloud 이번 포스팅은 Lambda Function을 위한 향상된 VPC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AWS 공식 블로그에서도 볼 수 있는 내용이지만,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존 네트워크 모델 ▪ Lambda의 모든 컴퓨팅 인프라는 서비스가 소유한 VPC(default system-managed) 내에서 실행 ▪ Lambda를 이용해서 VPC 내에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Lambda를 VPC에 연결 할 수 있음. ▪ Lambda가 VPC 내에 접근하기 위해서 Lambda가 VPC로 접근할 수 ..
AWS - VPC : Part 17 [Network Manager-3]
Today Keys : Network Manager, site, vpn, link, 네트워크, 매니저, aws, cloud, transit, gateway, 클라우드, 관리 올 해 첫 포스팅입니다. Transit Gateway 신규 추가 기능 중에 하나인 Network Manager에 대한 3 번째 포스팅이네요. 이번 포스팅은 Network Manager에서 Site를 등록하고, 해당 Site에 VPN 장비를 연결하는 예제입니다. 실제 여기서 연동하는 VPN은 AWS를 지원하는 SD-WAN용 장비로 하면 좋겠지만, 없기 때문에.. ^^; 일반 IPSEC을 지원하는 VPN(실제 Azure VPN으로 연동했습니다.)으로 연동했습니다. 참고로 포스팅은 Network Manager를 볼 때 순차적으로 볼 부분이..
AWS - VPC : Part 16 [Network Manager-2]
Today Keys : Network Manager, Global Network, Transit Gateway, 네트워크, 매니저, TGW, attach, vpc, vpn, aws, cloud, 클라우드, 올해의 마지막(?) 포스팅은 Transit Gateway 신규 추가 기능 중에 하나인 Network Manager에 대한 2 번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Network Manager가 무엇인지와 어떤 기능이 있는지 알아보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Network Manager를 살짝 둘러봅니다. Network Manager에 대한 추가 포스팅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입니다. Network Manager에서 관리할 Global Network를 만들고, Global Network에서 관리하는 VPC와 VP..
[발표자료]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Public Cloud
Today Keys : cloud, 클라우드, 네트워크, vpc, vnet, virtual, netwok, aws, azure, peering, endpoint, private 이번 포스팅은 지난 주 토요일(19.11.09)에 진행된 제 27회 네트워크 전문가 따라잡기 커뮤니티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Public Cloud라는 주제로 진행했으나, 실제 네트워크 엔지니어만을 위한 내용은 아니며, Public Cloud 네트워크에서 알아야 하는 라우팅, 피어링, 엔드포인트, 전용선 4가지 주제를 다루어보았습니다. 용
GCP - VPC Network 2 (Route 1)
Today Keys : GCP, Google, cloud , platform, 클라우드, 네트워크, network, route, routing, 경로, vpc, system GCP에서의 라우팅에 관련된 첫 번째 정리입니다. GCP에서의 시스템 생성결과 커스텀 경로에 따른 4가지 분류 유형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제 GCP에서의 관련 내용에 대한 실습 포스팅은 추후에 진행 될 예정입니다. GCP 경로 유형 시스템 생성 경로(System-generagted routes) ▪ 사용자가 네트워크/서브넷 생성 및 서브넷의 보조 IP 범위 수정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경로 ▪ 기본적으로 인터넷을 향하는 default route가 있으며, default-internet-gateway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