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

(75)
AWS - VPC : Part 10 [VPC 생성 - 수동] Today Keys : VPC, AWS, 아마존, Cloud, 클라우드, 서브넷, Subnet, 라우팅, Routing, NAT, Gateway, IGW 이번 포스팅은 예전 포스팅에서 마법사를 통해서 만들었던 VPC를 마법사를 통하지 않고 각 개별 항목 별로 생성해보는 실습 예제입니다. 마법사를 통한 구성은 편리하지만, 직접 개별 항목으로 생성해 보는 작업을 통하면 실제 VPC의 구성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관련 포스팅 : AWS - VPC : Part 3 [VPC 생성 및 테스트:마법사] 이번 포스팅에서 만들게 될 VPC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의 VPC 내에 공인 서브넷과 사설 서브넷을 각각 1개씩 구성합니다. VPC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 Intern..
AWS - VPC : Part 9 [Endpoint-2] Today Keys : VPC, AWS, Endpoint, Gateway, Interface, services, cloud, 아마존, public 이번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VPC Endpoint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VPC Endpoint 중에서 Interface 타입의 Endpoint를 생성해서 어떻게 Endpoint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접근 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볼 수 있는 간단한 예제 포스팅입니다. * 관련 포스팅 : VPC Endpoint 알아보기 Gateway Endpoint 만들어보기 - 포스팅 준비 중 이번 포스팅에서는 Interface 타입의 Endpoint인 CloudFormation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먼저 Endpoint를 생성하기 위해서 '엔드포인트 생성' 메뉴를 선택하..
AWS - VPC : Part 8 [Endpoint-1] Today Keys : VPC, AWS, Endpoint, Gateway, Interface, Private, links, services, cloud, 아마존, public 이번 포스팅은 VPC 네트워크에서 AWS 서비스를 AWS 네트워크를 통해서 직접 접근하기 위한 Endpoint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Endpoint는 접근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Gateway와 Interface 타입으로 나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ndpoint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Endpoint를 생성해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볼 예정입니다. * 관련 포스팅 : Gateway Endpoint 만들어보기 - 포스팅 준비 중 Interface Endpoint 만들어보기 VPC Endpoin..
Azure VNet - Peering 1 Today Keys : Azure, Peering, 피어링, Global, VNet, Virtual, Cloud, Network 관련 포스팅 : Azure VNet - Peering 2 Azure VNet - Peering 3 피어링(Peering) - Azure의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인 VNet 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 - Peering으로 연결된 VNet 간에는 Azure 백본을 이용해서 라우팅 Peering 구분 - VNet 피어링 : 동일 Azure 리전 내에 있는 VNet 간의 연결 - 글로벌 VNet 피어링 : 서로 다른 Azure 리전에 있는 VNet 간의 연결 Peering 특징 - Peering으로 VNet 연결 시에는 VNet의 인스턴스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라우팅 설정 필요 없..
AWS - VPC : Part 5 [VPC Peering] Today Key : AWS, VPC, Cloud, Network, Peering, region, 접속, 피어링 이번 포스팅은 VPC 간의 연동을 해주는 VPC Peering에 대한 정리입니다. 실제 VPC Peering을 연동하는 예제는 포스팅용으로 이미지를 정리해야해서..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집니다. ^^ 혹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나, 보완해야 될 내용이 있으면 덧글로 남겨주세요! VPC Peering · VPC 간의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술 · AWS 내에서 정의하는 정의하는 가상의 네트워크인 VPC는 논리적으로 독립적인 네트워크 망을 선언한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VPC 간에는 서로 통신이 불가하여 VPC 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 VPC 간에 서로 ..
AWS - Direct Connect : Part 1 Today Keys : Hybrid, Direct, Connect, Direct Connect, 전용회선, AWS, VPC, VPN, VGW, BGP, DX, 클라우드, Cloud, 하이브리드 Last updated. 19.11.12 : hosted 방식 지원 속도 이번 포스팅은 AWS와 On-premise와 연결하는 Direct Connect에 대한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기존에 포스팅 중이던 VPC와 함께 포스팅 될 예정입니다. 최초에 작성하고 내용을 일부 수정하느라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정식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아마도 기본 내용의 포스팅이라서 추가적으로 나중에 업데이트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AWS와 On-Premise의 연결 ▪ AWS와 On-Premise 와의 연결을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의 3..
Cloud Native App : PPT Today Key : Cloud Native App, CNA, Microsoft, Service, MSA, Immutable Infrastructure 이번 포스팅은 Cloud Native App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이 포스팅은 2번에 걸쳐서 나눠서 올려지며, 이번에는 간단한 발표용으로 만든 프레젠테이션 이미지를 포스팅하며 이번 주말 전까지는 일반 포스팅 형식으로 같은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본 자료는 슬라이스쉐어로도 업로드되어 있으니,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 슬라이드쉐어 : http://www.slideshare.net/ssuserc08d76/cloud-native-app )
AWS 한국 Region AWS 한국 리전 ▪ 1월 7일(어제) AWS Cloud 세미나에서 AWS Seoul Region 정식 오픈 발표와 한국 Region 서비스를 시작. - 전세계 12번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5번째 리전 ▪ 서울 리전은 2개의 Availability Zone(AZ)으로 구성 - AZ는 2곳이지만, 실제 국내 IDC 3곳(KT[목동], SKB[일산], 롯데정보통신+현대정보기술[용인])을 임차. AWS 한국 리전 가용한 서비스 목록(1월 7일 오픈 기준) AWS 한국 서비스 속도 ▪ 한국 Region의 경우 약 10ms의 응답 속도 (EC2 기본 서버 테스트) - 일본 Region의 경우 약 30~50ms 의 응답 속도 서비스 비용 (EC2) ▪ 한국 Region의 경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