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Private DNS Resolvers 구성해보기
Today Keys : private, dns, resolver, domain, hybrid, on-premises, 도메인, conditional, forwarder, forwarding, rule 이번 포스팅 지난 5월 17일에 Public Preview로 공개된, Azure DNS Private Resolver에 대한 테스트를 해보는 내용입니다. 기존의 Hybrid Cloud 환경에서 On-Premises와 DNS Query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Azure VNet 내에 IaaS로 기반의 DNS 솔루션을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해야 했지만, 이제 Managed 형태의 서비스로 On-Premises ↔ Azure 간의 DNS 조회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다뤄진 아키텍처입니다. On-P..
Azure - AWS 간의 VPN 연동 및 BGP 연결
Today Keys : vpn, private, gateway, aws, azure, vpc, vnet, tunnel, 프라이빗, network, bgp, ipsec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와 AWS 간의 가상 네트워크(VNet/VPC)를 VPN을 통해서 연결하고 BGP 구성을 하는 예제입니다. 추후에 AWS와 GCP, Azure와 GCP 간의 VPN 연결 및 BGP 구성을 하는 예제도 다뤄질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구성하게 될 전체적인 구성도입니다. Azure와 AWS에 각각의 가상 네트워크(VNet/VPC)를 구성하고, VPN 연결을 통해서 Private하게 서로 연결을 합니다. 각 네트워크 대역은 BGP를 통해서 연결하게 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전에 기본 네트워크(VPC/VNet) 및 ..
AWS Private NAT Gateway - Part 1
Today Keys : private, nat, gateway, natgw, 사설, transit gateway, tgw, 연동, connectivity 이번 포스팅은 AWS에서 제공하는 Managed NAT 서비스인 NAT Gateway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NAT Gateway는 Private 서브넷에서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한 용도로 보통 사용되었으나, 필요 시 사설 대역 연동을 위해서도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 포스팅 : https://zigispace.net/1102) 다만, 이 경우에도 NAT Gateway 구성 시에 무조건 EIP를 연결해야 했었습니다. 이번에 Private 환경의 Managed NAT 지원을 위해서 별도의 EIP 연결이 없이 NAT Gateway를 사용 할 수 있도록 N..
Service Private Access - Part 1
Today Keys : private , google, access, on-premise, services, 서비스, 비공개, 액세스, gcp, cloud, privatelink Private Google Access ( 비공개 Google 액세스) ▪ Public IP가 없는 VM인스턴스에서 Google API 및 서비스에 접근하도록 함. ▪ 비공개 Google 서비스 사용 설정 및 Default 라우팅이 기본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 (테스트 필요) ▪ Public IP를 갖고 있는 인스턴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 VPC 네트워크의 서브넷 단위로 적용 ▪ 대부분의 Google Cloud 서비스에서 지원함 - App Engine Memcache / Firestore / Memorys..
Oracle Cloud - Fast Connect Part 1
Today Keys : OCI , cloud, oracle , infrastructure, fastconnect , 전용선, connection, circuit, private, provider 이번 포스팅은 Oracle Cloud의 전용선 서비스인 Fast Connect 중에서 'Oracle Provider' 방식 연동 예제입니다. Fast Connect에 대한 기본 포스팅은 추후에 별도로 할 예정입니다. FastConnect 메뉴에서 'Create FastConnect'를 선택합니다. FastConnect 연결 방식 중에서 'Use Oracle Provider'를 선택합니다. Oracle Provider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리전에서 지원되는 Provider를 고르게 되는 데 서울 리전에서 Fast..
Azure Private Link : Part 1
Today Keys : private link, privatelink, endpoint, private, provider, consumer, service, load balancer, azure, microsoft 이번 포스팅에서는 Azure에서 사용자의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이나, Peering 과 같은 VNet 연동을 통하지 않고 서비스를 호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Private Link에 대한 예제를 다룹니다. Private Link에 대한 기술 정리 내용은 추후 포스팅에서 다시 다루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Private link를 사용하기 위한 예제만 다룹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게 될 Private Link에 대한 구성입니다. Service Provider 역할을 하는 곳에서 간단..
[발표자료]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Public Cloud
Today Keys : cloud, 클라우드, 네트워크, vpc, vnet, virtual, netwok, aws, azure, peering, endpoint, private 이번 포스팅은 지난 주 토요일(19.11.09)에 진행된 제 27회 네트워크 전문가 따라잡기 커뮤니티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Public Cloud라는 주제로 진행했으나, 실제 네트워크 엔지니어만을 위한 내용은 아니며, Public Cloud 네트워크에서 알아야 하는 라우팅, 피어링, 엔드포인트, 전용선 4가지 주제를 다루어보았습니다. 용
Azure - Outbound NAT : LB
Today Keys : Azure, NAT, PAT, NAPT, Outbound, Cloud, Load Balancer, Frontend, Public , Private, IP, 클라우드 Azure에서 Outbound 통신 시에 고정된 Public IP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1. Instance에 직접 Public IP를 할당하여 직접 NAT 하는 방법 2. 로드밸런서에 Frontend에 고정된 Public IP을 할당해서 PAT(NAPT) 하는 방법 3. PAT(NAPT)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Instance를 직접 만드는 방법 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드밸런서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예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의 그림은 오늘 포스팅에서 진행하게 될 간단한 구성입니다. 2대의 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