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79)
GCP - VPC Network 1 Today Keys : GCP, google, cloud, 클라우드, 네트워크, vpc, network, ip, address GCP 네트워크에 대한 간략한 정리 내용입니다. 기존에 지원하던 Legacy Network와 현재 권고되는 VPC Network에 대한 내용과 서브넷과 IP Address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론 GCP 웹에서 제공되는 내용이지만,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서 정리한 것을 공유합니다. VPC Network(Subnet Network) ▪ VPC 네트워크는 Global 리소스 - VPC에 연결된 라우터와 방화벽 규칙도 Global 리소스 ▪ VPC 네트워크 내의 서브넷은 Region 리소스 - Legacy 네트워크는 서브넷이 Global 리소스 ▪ Cloud Console 및 glcou..
[발표자료]2019 Global Azure Bootcamp Seoul - Azure 네트워크 지난 주 토요일(4월 27일)에 2019 Global Azure Bootcamp Seoul이 있었습니다.해당 행사에서 '네트워크에서 바라보는 Azure 네트워크'라는 주제로 세션을 진행했는 데..세션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Beginner 세션이긴 했지만.. 오신 분들의 눈높이에 비해 난이도 조절이 실패한 것이.. 아쉽네요. ^^;
Apstra - IBN Solution Today Keys : IBN, Intent, Apstra, 인텐트, 의도, 기반, 네트워크, Network, 앱스트라, AOS 이번 포스팅은 IBN(Intent-Based Networking) 솔루션인 Apstra에 대한 화면 간단한 소개입니다. Apstra는 Apstra Operating System(AOS)를 이용하여, 다양한 벤더(운영체제)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되는 벤더 뿐만 아니라 지원되는 벤더와 OS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Template 형태의 사용자 의도의 설정을 벤더에 종속되지 않게 네트워크 장비에 deploy 합니다. 해당 설정은 AOS에서 지속적으로 관리되면서, 최초의 의도와 벗어난 변경이 발생될 경우에 이를 알려주고 ..
Azure VNet - Peering 3 Today Keys : Azure, Peering, 피어링, Global, VNet, Virtual, Cloud, Network, NSG, 네트워크,보안,그룹,클라우드,애저 관련 포스팅 : Azure VNet - Peering 1 Azure VNet - Peering 2 네트워크 보안 그룹(NSG)를 이용하여 피어링(Peering) 맺은 VNet 간의 통신 제어 - 가상 네트워크(VNet) 간의 피어링(Peering)을 연결하고 나면, 가상 네트워크에서 선언한 IP 주소 공간은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이 라우팅이 됩니다. - 피어링을 맺은 가상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제어하려면 네트워크 보안 그룹(NSG)를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 - 아래의 구성도는 앞의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던 두 가상 네트워크 간의 피어링..
Azure VNet- Peering 2 Today Keys : Azure, Peering, 피어링, Global, VNet, Virtual, Cloud, Network * 관련 포스팅 : Azure VNet - Peering 1 Azure VNet - Peering 3 피어링(Peering) 구성하기 - 사전에 2개의 VNet을 구성하고, 각 VNet에는 2개의 서브넷이 존재합니다. - 서브넷 별로 1개의 Instance가 존재하고, VNet 간에는 IP 주소 공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설계 : 초기 VNet 구성 시에 주소 공간이 중복되는 경우, 주소 공간 생성 시 경고 메시지 발생합니다. - 동일 VNet의 Instance 간에는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나, 서로 다른 VNet의 Instance 간에는 통신이 불가 먼저 ZIGI-VNet 1에..
Azure VNet - Peering 1 Today Keys : Azure, Peering, 피어링, Global, VNet, Virtual, Cloud, Network 관련 포스팅 : Azure VNet - Peering 2 Azure VNet - Peering 3 피어링(Peering) - Azure의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인 VNet 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 - Peering으로 연결된 VNet 간에는 Azure 백본을 이용해서 라우팅 Peering 구분 - VNet 피어링 : 동일 Azure 리전 내에 있는 VNet 간의 연결 - 글로벌 VNet 피어링 : 서로 다른 Azure 리전에 있는 VNet 간의 연결 Peering 특징 - Peering으로 VNet 연결 시에는 VNet의 인스턴스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라우팅 설정 필요 없..
AWS - VPC : Part 5 [VPC Peering] Today Key : AWS, VPC, Cloud, Network, Peering, region, 접속, 피어링 이번 포스팅은 VPC 간의 연동을 해주는 VPC Peering에 대한 정리입니다. 실제 VPC Peering을 연동하는 예제는 포스팅용으로 이미지를 정리해야해서..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집니다. ^^ 혹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나, 보완해야 될 내용이 있으면 덧글로 남겨주세요! VPC Peering · VPC 간의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술 · AWS 내에서 정의하는 정의하는 가상의 네트워크인 VPC는 논리적으로 독립적인 네트워크 망을 선언한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VPC 간에는 서로 통신이 불가하여 VPC 간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 · VPC 간에 서로 ..
AWS - VPC : Part 1 Today Key : AWS, VPC, Cloud, Network, region, subnet, CIDR, AZ Last Updated : 18.11.28 AWS VPC · AWS 내에서 정의하는 가상의 네트워크 환경 (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 · 사내망(On-Promise)과 VPN이나 Direct Connect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연결 가능 · VPC 내에는 Public 서브넷과 Private 서브넷을 구성 할 수 있음. VPC 특징 · VPC는 하나의 region에 속함. · Region 내의 AZ 간에는 VPC를 같이 사용 가능. · 네트워크 주소와 라우팅을 직접 설정 · 복수의 region 사용 시에는 네트워크 주소 설계 고려 · VPC 생성 시 VPC에 속하는 하나의 CIDR을 생성 - ..